미국, 2분기 GDP 성장률 3%로 반등…소비 회복과 수입 급감 주효

[email protected]



미국 경제가 2023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3%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반등했다. 이는 1분기 -0.5%에서 V자 회복을 이룬 수치로, 시장 예측치인 2.5%를 상회하는 성과이다. 이번 성장은 기업의 수입 급감과 소비 심리의 회복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상무부의 발표에 따르면 2분기 GDP 속보치는 전기 대비 연율 3.0% 증가한 것을 나타냈으며, 이는 미국의 잠재성장률로 추정되는 1%대 후반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번 발표는 첫 번째 단계인 속보치로, 이후 잠정치와 확정치가 순차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2분기 성장세의 핵심 동력은 수입 감소와 소비 부문의 개선이다. 수입이 30.3% 급감한 반면, 수출은 1.8% 줄어들면서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됐다. 순수출이 GDP에 미친 기여는 5%포인트에 달해 전반적인 성장률을 높이는 데 이바지했다. 1분기에는 기업들이 관세 발효를 앞두고 재고를 미리 쌓으려고 수입을 37.9% 늘여 무역적자가 확대됐지만, 2분기에는 이러한 기저효과와 정부의 기본관세 발효로 수입이 감소했다.

소비 부문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GDP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실질 소비지출은 1.4% 증가하여, 1분기의 0.5%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이는 소비자의 심리 회복과 함께 소비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물가 상승 속도는 다소 둔화됐다.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으로 삼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는 2.5%로, 1분기의 3.5%보다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이는 시장 전망치와 일치하는 수치며, 근원 PCE 물가는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GDP 성장률 발표 후 즉각적으로 Fed에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채널에 “2분기 GDP가 막 나왔다”라며 “3%는 예상보다 훨씬 좋은 수치”라고 강조하며 Jerome Powell Fed 의장에게 금리를 즉각 인하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는 또한 “인플레이션이 없다. 사람들이 집을 사고 재융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기에 대한 일부 둔화 조짐도 발견됐다. 민간 국내 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는 1.2% 증가에 그쳐, 1분기 1.9%의 증가율보다 현저히 낮았다. 이는 2022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분석가들은 이것이 수요 흐름에서의 둔화 신호라고 해석했다.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예상 밖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겪고 있는 경영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앞으로의 경제 지표를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키워드: world_news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