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2023년 2분기 동안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연율 3.3% 증가시키며 예상치를 넘어서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 성장은 주로 소비의 회복과 수입의 급감, 그리고 기업 투자의 증가에 의해 견인되었다. 미국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EA)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수치는 이전 발표된 속보치인 3.0%보다 0.3%포인트 상향된 결과로, 다우존스의 전망치인 3.1%를 상회하는 수치이다.
올해 1분기에는 0.5%의 역성장을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V자 반등’을 이루었다. 이는 무역수지 개선과 소비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GDP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실질 소비 지출은 1.6% 증가했다. 이는 초기 예상치인 1.4%에서 상향 조정된 수치로, 1분기와 비교해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민간 최종 소비 증가율은 당초 1.2%에서 1.9%로 대폭 조정되어, 연방준비제도(Fed)가 주목하는 주요 경제 지표인 소비 시장에 대한 우려를 줄였다. 이러한 수치는 경기 둔화 우려를 완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수입의 급감 또한 이번 성장률 향상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2분기 동안 수출은 1.2% 줄어들었으나, 수입이 무려 29.8% 감소하며 무역수지가 개선되었다. 이로 인해 순수출의 GDP 기여도는 5%포인트를 넘었다.
1분기에는 관세 부과 전 기업들이 재고를 보충하며 수입이 급증했지만, 2분기 들어 새로운 10% 기본관세가 발효되면서 재고 축적 수요가 줄어들고 수입이 급감한 상황이다. 기업 투자는 5.7% 증가했으며, 이는 예비치인 1.9%에서 크게 상향된 수치다. 특히, 운송 장비 관련 투자가 확대되었고, 지적 재산권 상품의 투자는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물가 상승률은 Fed가 중시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지수 기준으로 2.5%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소비자와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적응해 나가면서 미국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러나 앞으로 소비 지출의 흐름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네이비 페더럴 크레딧 유니온의 헤더 롱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인들의 소비는 관세와 불확실성 속에서도 상승세를 보였으나, 과거 몇 년에 비해 둔화된 양상이다”라며 향후 소비자들이 관세의 영향을 더 직접적으로 체감하면서 소비 및 성장률이 1.5%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경제 지표들은 앞으로의 경제 흐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미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