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서 성관계를 하지 않는 20대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상이 적지 않은 우려를 낳고 있다. 미국 가족학연구소(IFS)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18세에서 64세의 성인 중 ‘주 1회 이상 성관계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7%로, 이는 1990년의 55%에 비해 18%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이와 같은 ‘성 불황(sex recession)’ 현상은 특히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지며,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응답자 중 지난 1년간 성관계를 하지 않은 비율이 2010년 12%에서 지난해에는 24%로 두 배 증가했다.
이 조사는 20대 젊은층의 성생활 단절과 동거 비율 감소를 보여주고 있다. 같은 연령대에서 파트너와 동거 중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2014년 42%에서 2024년 32%로 감소했다. IFS는 이러한 경향이 젊은 남녀가 함께 사는 비율이 줄어들면서 규칙적인 성생활을 이어가는 경우도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부가적으로, 디지털 환경의 변화가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대와 30대가 친구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2010년 주당 평균 12.8시간에서 2024년에는 5.1시간으로 급감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가 보편화된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사춘기를 보낸 세대는 대인 관계와 친밀한 교류에 덜 노출되면서 성적 관계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혼자들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결혼한 성인 중 ‘주 1회 이상 성관계를 한다’는 응답은 1996~2008년에는 59%였으나, 2010~2024년까지 이 비율은 49%로 감소했다. 이런 추세는 특정 연령층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대에서 고르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IFS는 디지털 혁명을 ‘전자 아편’이라 표현하며, SNS, 온라인 게임 및 스트리밍 서비스에 소비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관계 형성이 저해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수면 시간이 줄어들면서 부부 간 대화와 신체 접촉 등의 기회도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텍사스대의 마크 레그네러스 교수는 “사람들이 타인과 보내는 시간을 점점 디지털 활동으로 대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개인의 사생활 문제를 넘어 사회 구조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미국 의회예산처(CBO)는 향후 30년 동안 미국의 합계출산율이 인구 유지에 필요한 2.1명에 크게 못 미치는 1.6명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성 불황(sex recession)’ 현상이 출생률 저하와 국가 인구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레그네러스 교수는 “우리가 서로에게 점점 무미건조하고 지루한 존재로 변해가고 있다”며 “이런 인간관계의 단절은 결국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