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401(k) 계좌로 가상화폐 투자 허용…퇴직연금 안정성 논란 증대

[email protected]



미국 정부는 퇴직연금 계좌인 401(k)에 가상화폐 투자 편입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내년 하반기부터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가상화폐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는 가상화폐가 제도권 금융에 본격적으로 통합되는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지고 있지만, 동시에 퇴직 자산의 안전성과 관련한 우려를 낳고 있다.

가상화폐의 편입은 퇴직연금 자산 다변화와 수익률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메리츠증권의 박수연 연구원은 가상화폐가 물가 상승과 통화 가치 하락의 상황에서 헤지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자산 분산 투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퇴직연금의 본질인 안정성을 고려하면 신중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박 연구원은 가상화폐가 내재가치나 담보 자산 없이 시장 수요와 공급, 심리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동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경제 위기 시 시장이 급격히 청산될 경우, 가상화폐 가격을 지탱할 장치가 부족하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는 가상화폐의 변동성이 퇴직연금 전반의 자산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재 글로벌 가상화폐 시가총액은 약 4조 1,900억 달러로, 이는 과거 닷컴 버블 붕괴 당시의 나스닥 시가총액 4조 달러와 유사한 수치다. 그러나 가상화폐 시장은 전통 금융시장에 비해 구조적으로 더 취약하다는 점에서 큰 리스크를 안고 있다. 박 연구원은 이러한 극단적인 리스크를 ‘테일 리스크’라고 설명하며, 이 리스크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정명령은 퇴직연금 운용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신호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만, 내재된 리스크를 통제할 수 있는 철저한 제도와 교육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향후 위기 상황에서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제도권 금융과 가상자산 간의 경계가 점차 흐려질 것을 예고하며, 이에 따른 규제 체계도 더욱 복잡하고 정교해질 전망이다. 노후 자산으로서 퇴직연금에 대한 안전성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