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GENIUS 법안’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전환을 유도할까?

[email protected]



미국 의회에서 발의된 ‘GENIUS 법안’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법안은 전통적인 수익 창출 구조에서 벗어나 결제 중심의 스테이블코인 모델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그눔(Sygnum)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파비안 도리는 이번 법안이 금리 및 수익 기반의 스테이블코인과 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을 명확히 구분하도록 개정되었다고 강조했다.

도리는 이러한 법안이 미국과 유럽연합의 암호자산 시장 규제인 MiCA(Markets in Crypto-Assets)와의 조화를 이루며 글로벌 규제 기준 설정의 기초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GENIUS 법안은 단순한 규제 강화에 그치지 않고, 오랫동안 필요로 해왔던 규제의 명확성을 제공함으로써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와 기업들이 고객의 현재 수요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와 결제 시스템 개발에 동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킬러 앱’을 만들어낼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기대감도 증가하고 있다. 마스터카드와 페이팔은 이 법안에 따라 규제에 부합하는 스테이블코인 사용 인프라를 구축 중이며, 아마존과 월마트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급여 지급 및 해외 결제와 관련된 스테이블코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의 참여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전반적인 결제 생태계의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도리는 또한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토큰화된 머니마켓펀드(Tokenized Money Market Funds)가 대안으로 적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토큰화 뮤추얼 펀드들이 연 4~5%의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와 실물 활용 목적의 스테이블코인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매일 유동성 및 안정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GENIUS 법안’의 도입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결제 시스템의 혁신과 새로운 금융 서비스 개발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