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MZ세대, 외모에 구애받지 않는 ‘슈렉킹’ 연애 트렌드 확산

[email protected]



최근 미국 MZ세대(1980년생~2004년생) 사이에서는 외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은 상대와의 데이트를 즐기는 ‘슈렉킹(Shrekking)’이라는 새로운 연애 트렌드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 카드는 2001년 애니메이션 ‘슈렉’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것으로, 주인공 슈렉이 외모에 상관없이 사랑을 찾았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현상은 SNS 플랫폼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었으며, 많은 젊은이들이 “평범한 외모의 상대가 나를 더 잘 대우할 것”이라는 기대심리를 갖고 새로운 만남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이런 만남에 대한 게시글과 개인적인 경험담이 발표되며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단, ‘끌리지 않는 상대와의 데이트에서 상처를 받았다’는 부정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슈렉당했다(Getting Shrekked)’는 불만의 표현도 등장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긴장과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연애 코치 에이미 찬은 “외모가 평범한 사람이 나를 잘 대해줄 것이라는 기대가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녀는 연애의 본질이 성격과 가치관, 그리고 감정적 성숙도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외모 기준을 낮춘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대우를 받을 것이라는 믿음은 오히려 외모지상주의를 강화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런 경험자들에게는 “외모 외에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기준을 정립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찬은 외모가 연애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일 수 있지만, 그것이 ‘좋은 대우’에 대한 보장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관계 전문가 에마 하톤 또한 “자신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은 외모와 관계없이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하며, 동료와 비슷한 가치관을 공유하는 상대와의 만남이 진정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주로 만나는 사람들이 아닌 상대와의 만남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며, 진지한 관계는 단순한 외모를 넘어 성격과 목표를 공유하는 데서 진정한 매력을 찾을 수 있다고 조언하였다.

최근 ‘슈렉킹’ 트렌드는 MZ세대의 연애 가치관을 반영하며, 그들의 심리적 불안정성과 이로 인한 새로운 만남의 양식을 형성하고 있다. 외적인 매력이 아닌 다른 기준에서의 연애가 어떻게 현실화될지는 앞으로의 주목할 만한 주제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