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최근 공동 성명을 통해 24시간 자본시장 체제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암호화폐 파생상품에 대한 새로운 규제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양 기관은 암호화폐 시장의 특성과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 인프라의 확장 추세를 반영하여 전통 금융시장의 연중무휴 거래 시스템으로의 전환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발표는 현지시간 5일에 이루어진 것으로, 양 기관은 “온체인 금융 시스템의 확대를 고려할 때, 자산 전반에 걸친 24시간 거래 환경 조성이 필수적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만기일이 없는 선물 계약인 영구선물(perpetual futures)과 특정 이벤트에 연동된 계약 상품에 대해 명확한 규제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모든 자산군에 동일하게 거래시간을 확대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에는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양 기관은 “글로벌 경제는 이미 항상 움직이는 구조”라면서 자산별 특수성에 따라 24시간 거래의 실현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완전한 ‘항상 열려 있는 시장(Always-on market)’으로의 전환이 자본 회전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각국 시간대의 차이로 인한 미처 거래되지 않은 위험 요소도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에서 암호화폐 자산의 제도적 수용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암호화폐 벤처 투자사 소라벤처스(Sora Ventures)는 비트코인(BTC) 10억 달러 규모의 트레저리 펀드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 펀드는 향후 6개월 내 전체 규모를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만 블록체인 위크에서 제이슨 팡(Jason Fang) 창립자가 이를 직접 공개했다.
팡 창립자는 이 펀드를 “아시아 최초의 10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트레저리 펀드”로 소개하며, 비트코인을 지역 기관투자가의 중심 전략 자산으로 자리매김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특히, 아시아 증시와의 접점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분명히 밝혀졌다. 이러한 펀드는 아시아 전역의 기관 투자자로부터 이미 초기 2억 달러의 자금 약정을 확보하였으며, 기업의 자산 흐름 다각화와 디지털 자산 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그러나 SEC 내부에서 발생한 IT 관리 부실 문제는 기관의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SEC 감사실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게리 갠슬러(Gary Gensler) 전 SEC 위원장 명의의 공용 휴대전화에서 1년치 문자 메시지가 비가역적으로 삭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삭제된 기간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9월로, SEC가 암호화폐 규제 집행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던 시점을 포함하고 있다.
SEC 내부 조사에 따르면, IT 팀은 정책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잘 이해하지 못한 채 도입하여, 갠슬러의 단말기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와 운영 시스템 로그가 ‘기업용 초기화’ 시스템에 의해 영구 삭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사전 경고 알림이나 소프트웨어 결함 보고 등이 무시되었고, 백업 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삭제된 메시지에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창업자들에 대한 SEC의 집행 방향 및 시점 등을 포함한 중요한 의사결정 내역이 담겨 있을 가능성이 있어, 향후 소송이나 의회 감사 과정에서 정보 공백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공공 기록법 및 사법 투명성 원칙에 기반한 시장 신뢰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