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디지털 자산 규제를 근본적으로 개편하기 위해 ‘프로젝트 크립토(Project Crypto)’를 출범시키며 업계의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SEC의 이 같은 조치는 블록체인 기반 시장의 발전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구조와 방향성을 재편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편, 인도에서는 지난 7월에 발생한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의 4400만 달러(약 611억 6,000만 원) 해킹 사건으로 인해 내부 직원이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하며 업계에 긴장감을 주었다. 이더리움(ETH)은 ETF 수요 증가와 재무 활동 여러 요인으로 인해 2022년 7월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폴 앳킨스(Paul Atkins) SEC 위원장은 ‘프로젝트 크립토’의 세부 사항을 공개하며, 브로커가 하나의 라이선스를 통해 다양한 자산군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암호화폐를 포함한 상품과 증권 간에 명확한 시장 구조 분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새롭게 적용될 규정들은 초기 단계의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ICO(토큰 발행), 탈중앙화 소프트웨어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규제 유예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설계될 예정이다. 이는 공정한 시장 경쟁을 위해 새로운 참여자와 기존 업체 모두에게 필요한 자율성과 혁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규제가 가져온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앳킨스 위원장은 탈중앙화자율조직(DAO) 형태의 규제 회피를 지양하고, 개인의 자산 자가보관(self-custody) 권리는 보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의 산업 규이 현대의 블록체인 환경에서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며, 새 시대에 맞는 규제 시스템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인도에서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방갈로르 시 경찰은 CoinDCX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라훌 아가르왈(Rahul Agarwal)을 체포했다. 이는 CoinDCX의 해킹 사건과 관련된 수사 과정에서 이뤄진 조치로, 아가르왈의 업무용 노트북이 해커의 공격을 받으며 자격증명이 도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가르왈은 경찰 조사에서 혐의를 부인했으나, 자신의 업무가 여러 외부 고객사를 위한 것임을 인정했다. CoinDCX 운영사인 네블리오 테크놀로지스는 이번 사건에 대한 자체 조사를 마친 후 형사 고발을 진행한 상태다.
CoinDCX 측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의 유포는 수사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자제해 달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글로벌 거래소들 사이에서 보안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고 있으며, 앞으로의 규제 개혁이 어떻게 진행될지 주목되고 있다.
복잡해지는 규제 환경과 내부 보안 위협 속에서 암호화폐 산업은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SEC의 규제 개혁이 과연 글로벌 가이드라인으로 자리잡을지, 인도의 CoinDCX 사건이 아시아의 보안 체계에 미칠 영향은 향후 중요한 관건으로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