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USTR 대표, 중국 한화오션 자회사 제재에 대한 비판 제기

[email protected]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최근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단행한 것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며, 이는 미국에 대한 투자 억제를 의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어 대표는 20일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의 최근 보복 행위는 전 세계 민간기업을 겨냥한 것이며, 미국 정치에 영향을 미치고 글로벌 공급망을 통제하려는 폭넓은 경제적 강압의 일환”이라고 지적했다.

그리어 대표는 이어서 이러한 조치가 외국의 투자자들이 미국 조선업과 다른 핵심 산업에 투자하지 못하도록 위축시키려는 의도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위협 시도는 미국이 국내 조선 산업을 재건하고, 중국의 핵심 산업 부문 재배 시도에 맞서 적절히 대응하려는 노력을 저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미국은 국내 기업을 방어하고,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미국의 미래 산업에 대한 동맹국의 투자를 적극 장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중국의 한화오션 제재에 대한 언론 질의에 “민간 기업의 운영을 간섭하고, 미국 조선 및 제조업 부흥을 위한 한미 협력을 약화하려는 무책임한 시도”라고 평하였다. 국무부 대변인은 “중국의 행동은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의 경제 협력 강화를 필요함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준다”며, 한국과의 결속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중국의 상무부는 14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였으며, 이에는 한화 필리조선소와 그 하위 회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회사는 미국과 한국 간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의 핵심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제재의 내용은 해당 기업들이 중국 내 거래 및 협력을 할 수 없도록 금지하는 것이다.

이번 제재 조치는 한국과 미국 간의 조선업 협력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압박이 증가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은 이러한 제재에 대응하여, 한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을 세우고 있으며, 이는 중국의 산업적 압박에 맞서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그리어 대표와 미국 국무부의 발언들은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한 미국의 단호한 대응 의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한미 간의 조선업 협력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주목하게 만든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