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박현주 회장, AI 및 디지털 인재 영입을 위한 스톡옵션 제공 선언

[email protected]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지난 1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고객자산 1000조원 달성 기념식에서 AI 및 디지털 자산 관련 전문 인력을 영입하기 위한 파격적인 스톡옵션 지급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전통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융합 거래를 목표로 하는 미래에셋의 전략의 일환으로, 글로벌 디지털 월렛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인재 스카우트에 집중하고 있다.

박 회장은 이번 기념식에서 “‘글로벌 디지털 월렛’ 시스템 구축을 위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자산 관련 국내외 인력을 데려오는 데 중점을 두고, 이를 위해 스톡옵션을 적극 부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스톡옵션 계약을 통해 직원들이 일정 기간 후 정해진 가격으로 회사 주식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회사 가치가 상승할 때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설명했다. 이는 미래에셋이 2016년 대우증권 인수 이후 처음으로 시행되는 스톡옵션 제공 사례로, 외부 인재 영입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AI 및 IT 역량을 갖춘 테크 인재들의 몸값이 높아지면서, 경쟁력 있는 스톡옵션 보상 체계를 마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글로벌 테크 채용 전문업체 해리슨클라크에 따르면, 빅테크 기업들이 중간 및 선임급 AI 연구자에게 지급하는 연봉 패키지는 50만 달러에서 200만 달러에 이르며, 최고 수준의 인재에게는 1000만 달러가 넘는 금액을 제공한다고 전해졌다.

박 회장은 또한 내부 인재 유치에도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 행사 당일, 그는 디지털 부문 임직원들을 전면에 배치하며 계열사 부회장과 대표보다 이들을 강조했다. 이는 디지털 자산 거래에 대한 회사의 집중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내부 인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그는 “디지털 자산을 포함한 모든 자산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디지털 월렛’을 내년 6월까지 완성할 것”이라고 다짐하며, 인재 스카우트 및 인수·합병(M&A)을 위한 대규모 투자 비용을 감수할 것이라고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했다. 이러한 변화는 미래에셋이 디지털 금융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로, 앞으로의 향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