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한국거래소에 ‘TIGER 미국AI전력SMR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4일 발표했다. 이 ETF는 미국에 상장된 전력인프라 기업 10종목에 전략적으로 투자하며, 특히 뉴스케일파워와 오클로를 주도주로 삼고 있다. 이들 기업은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에 적합한 가스터빈과 연료전지 관련 기업에도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소형모듈원자로(SMR)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에 최적화된 차세대 발전 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SMR을 데이터센터의 전력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인허가를 간소화하고 세제 혜택을 통해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TIGER 미국AI전력SMR ETF는 SMR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는 뉴스케일파워와 오클로에 최대 비중으로 투자하여, 이들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논의하는 데 큰 의의를 갖고 있다.
뉴스케일파워는 모듈형 원자로(NPM) 분야에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설계 인증을 받은 첫 번째 기업으로, 그 혁신적인 기술력에 많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오클로는 오픈AI CEO인 샘 올트먼이 투자한 기업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에 모듈형 SMR로 응답하며, 4세대 SMR 선도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에도 TIGER 미국AI전력SMR ETF는 온사이트 발전 및 데이터센터 특화 발전 관련 기업들에도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온사이트 발전이란 데이터센터 내부에서 전력을 생산 및 공급하는 방식으로, 주로 SMR, 가스터빈, 연료전지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블룸에너지, GE버노바, 센트러스 에너지와 같은 기업이 이에 해당한다. 데이터센터 특화 발전은 인근 지역에서 전력을 구매해 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 과정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적용하여 전력의 효율적인 공급 및 저장을 실현한다. 이 방식을 통해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같은 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ETF운용본부장은 “AI 데이터센터 확산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의 전력 인프라는 병목 현상을 겪고 있어 새로운 전력 발전 방식으로 SMR, 가스터빈, 연료전지가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TIGER 미국AI전력SMR ETF를 통해 SMR 분야의 주도 기업인 뉴스케일파워와 오클로, 그리고 AI 전력 인프라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에게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