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의 군부 정권이 지진의 여파를 이용해 전투 중인 저항 세력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 하고 있지만, 평화적인 휴전의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지난 4월 1일 발생한 7.7 규모의 강진은 미얀마의 경제를 황폐화하고 수백만 명을 자원에서 쫓아낸 내전으로 이미 존망의 기로에 서 있는 이 나라를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보고된 사망자는 3,471명으로, 부상자와 실종자는 수천 명에 이른다. 미국 지질조사국의 예측 모델에 따르면, 궁극적인 사망자는 1만 명을 넘길 것으로 보이며, 경제적 손실은 미얀마의 연간 GDP를 초과할 것이라고 한다.
지진 발생 몇 시간 후, 미얀마 군부는 가장 피해가 큰 도시들에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이는 2008년 싸이클론 나르기스 이후의 대응과 극명하게 대조되는 모습이다. 당시 군부는 초기 국제 원조 요청을 거부해 84,000명 이상의 희생자를 낳았다. 이러한 군부의 반응 변화는 정치적 합의를 향한 조심스러운 희망을 낳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지진의 여파가 평화 협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전투선이 너무 뚜렷하게 나뉘어 있으며, 군부와 저항 세력 간의 의미 있는 대화를 위한 공동의 기초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군부의 일시적인 휴전 선언이 있기는 했지만, 저항 세력의 공격에 대한 경고도 함께 나왔고, 군부는 여전히 공중 공격을 통해 저항 세력을 제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전 미국 대사 스콧 마르시엘은 지진 이후에도 군부가 인도적 지원보다 저항을 진압하는 데 우선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얀마는 2021년 군부가 선출된 정부를 축출한 이후 정치적 및 인도적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최근 전투에서의 패배로 많은 영토를 잃고 있는 상황이다. 이 지진 이후 군부는 인도적 요구와 전투를 지속할 것인지 재조정해야 하는 시점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인도적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유엔 인권 사무소에 따르면 군부가 반군 세력이 점령한 지역으로의 지원 물품 차단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도적 지원 활동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자연재해는 외부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재정립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군부가 다가오는 12월 총선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군부 정권의 수장 민 아웅 흘라잉은 지진 이후 태국의 정상들과 만남을 가지며 외교적 중재 역할을 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전망은 암담하다. 단체 외부의 시각에서는 이번 총선이 명목상 행해질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여러 정치 단체들이 금지된 상황에서 군부가 자체적으로 권력을 유지하려는 시도로 여겨지고 있다.
결국, 이번 지진의 여파는 미얀마를 더욱 치명적인 실패 국가로 만들거나, 군부의 권위를 잠시 돋보이게 하는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