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긴장으로 이더리움($ETH) 폭락…24시간 내 26조 원 청산

[email protected]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급격히 격화되면서 이더리움(ETH) 가격이 크게 하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모의 청산 사태로 이어졌으며, 이더리움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450억 달러(약 62조 5,500억 원)에서 180억 달러(약 25조 원)로 줄어들며 약 45% 감소했다.

크립토퀀트의 분석가인 _OnChain은 이더리움의 가격 흐름을 30분 단위로 열 개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초기 세 구간에서는 매수세가 강했으며, 기술적 지표인 EMA 96, SMA 240, 거래량 가중 평균가(AVWAP) 위에서 가격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4구간과 5구간부터 약세 신호가 감지되며, 주요 지표를 하회하면서 가격이 마감됐다. 이로 인해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전환되며 매도 세력이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하락세는 6구간에서 본격화되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글로벌 시장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이더리움 가격이 가파르게 떨어졌다. 7구간과 8구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SNS를 통해 새로운 고율 관세를 중국에 경고하며 하락폭이 확대되었다. 이 시점에서 9월 25일 형성된 저점 기반 AVWAP까지 붕괴되었고, 단 24시간 내에 190억 달러(약 26조 4,100억 원)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되며 160만 명 이상의 트레이더가 손실을 입었다.

하지만 불안한 정세는 곧 완화되었다. 미국이 발표한 중국의 희토류 규제가 전면 금지가 아닌 제한적 조치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양측의 긴장감이 줄어들었고, 트럼프 대통령과 제이디 밴스 부통령이 화해의 신호를 보내면서 시장에 안정감을 주었다. 이러면서 이더리움은 다시 기술 지표를 상회하며 반등세를 보였고, EMA 96과 SMA 240을 회복함으로써 매수세의 귀환을 입증하였다.

이후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미결제약정의 감소는 투기적 레버리지 포지션의 강제 청산을 의미하며, 이는 시장의 건전성 강화를 나타내기도 한다. 실제로 급락 국면에서 미국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두드러졌으며,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이더리움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기관들이 가격 하락을 기회로 삼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이더리움의 가격은 한때 4,100달러(약 570만 원)까지 반등하며 반등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번 사태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암호화폐 시장에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동시에 급격한 가격 하락과 대규모 청산이 반드시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투자자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따라서 이번 혼란이 시장 안정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한 ‘리셋’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