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콩고와 M23 반군, 도하에서 평화협정 기본합의서 체결

[email protected]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정부와 동부 지역을 지배하는 M23 반군이 15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평화협정 기본합의서에 서명했다고 전해졌다. 이번 합의는 카타르 외무부의 중재 아래 이루어진 것으로, 두 측은 지난 7월 도하에서 체결한 휴전 협정에 따른 후속 조치로 이번 기본합의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서다.

민주콩고 정부는 이번 합의서가 평화 협정의 토대를 형성할 8개 이행 의정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의정서 중 일부인 포로 교환 및 휴전 이행 감독에 관한 사항은 지난 9월과 10월에 서명되었으며, 나머지 6개 의정서는 반군 통제 지역 내 국가 권위 회복과 인도적 지원 접근 등의 문제에 관해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하지만 M23을 대표하는 벤자민 음보니파는 이번 기본합의서에는 구속력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현장 상황에 실질적인 변화가 없을 것임을 예고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아프리카 담당 선임고문인 마사드 블로스는 양측이 서명한 이 합의서가 중요한 이정표지만, 전체 평화 과정을 위한 출발점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

민주콩고 동부 지역은 코발트와 구리 등 전략 자원이 풍부하여, M23을 포함한 100여 개의 무장 세력들이 30년 이상 분쟁을 일으켜 왔다. 올해 초, M23은 공세를 강화하여 동부 최대 도시인 북키부 주의 고마와 남키부 주의 부카부를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와 관련하여 민주콩고 정부, 유엔, 서방 국가들은 M23의 배후로 르완다를 지목했으나, 르완다는 이를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평화협정의 체결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이미 진행된 분쟁의 복잡성으로 인해 성공적인 이행 여부는 미지수다. 민주콩고 정부는 지난 6월 미국과 카타르의 중재로 르완다와 평화협정을 맺은 후, 7월에는 M23과의 휴전을 체결했으나 여전히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