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콩고 에볼라 사망자 31명, WHO “확진·의심 사례 48건 발생”

[email protected]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병의 사망자가 31명으로 증가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발병이 공식 선언된 지 2주 만에 확인 및 의심 사례가 총 48건에 이르렀다고 보고했다. WHO의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제네바에서 열린 화상회의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발표하며, 이어 “보고된 38건은 확진 사례”라고 덧붙였다. 현재 발병이 집중된 지역인 남부 카사이주 불라페 지역의 에볼라 치료센터에서는 15명이 치료를 받으며, 2명은 퇴원한 상태이다.

이번 에볼라 발병은 지난 4일 민주콩고 보건부가 34세의 임산부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를 확인하면서 공식적으로 발병을 선언한 데서 시작되었다. 에볼라는 처음 발견된 1976년부터 현재까지 단기적으로 매우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전염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염 경로는 주로 체액을 통해 이뤄진다. 필수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치사율은 80~90%에 달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서부 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서는 1만1300명이 사망하는 비극적 결과를 초래한 바 있으며, 민주콩고는 이번이 16번째 에볼라 발병 사례다. 이에 따라 민주콩고는 지난 14일 에볼라 백신 접종을 시작하였으며, WHO 측은 불라페 지역에 ‘에르베보’ 백신 760회분이 배송되었다고 전했다. 추가로 약 4500회분의 백신이 수도 킨샤사에 곧 도착할 예정이다. 백신 접종의 우선 대상은 최전선에서 대응하는 의료 종사자와 확진자와 접촉한 인물들이다.

해야 할 일은 지금 바로 백신 접종과 치료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다. 에볼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지역 사회의 감염병 대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국제 사회의 신속한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 WHO는 민주콩고 정부와 협력하여 지역 주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에볼라 퇴치를 위한 프로그램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