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 반고체 배터리 상용화의 첫걸음… 中 위라이언에 양극활물질 공급

[email protected]



바스프(BASF)는 중국의 위라이언 뉴에너지(WELION New Energy)와 협력하여 반고체 배터리용 양극활물질을 처음으로 양산, 공급했다고 발표했다. 이 성과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바스프는 5일 자사 배터리 소재 합작사인 바스프 샨샨 배터리 머티리얼즈(BSBM)를 통해 위라이언과의 협력 프로젝트의 결과를 공개했다. 두 회사는 지난해 8월에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후, 단 1년 만에 개념 설계에서부터 양산 체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BSBM은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기반 양극재에 독자적인 복합 코팅층을 도입하여 고체 전해질과의 계면 문제를 해결했다. 이를 통해 저항을 감소시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고, 계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반응을 억제하여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였다. 또한 사이클 성능을 안정화하는 효과도 얻어내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의 주요 난제를 해결한 사례로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스몬드 롱 바스프 배터리 소재 수석부사장은 “이번 협업은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의 중요한 진전을 의미하며, 양사 기술팀 간의 긴밀한 협력이 빚어낸 성과”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앞으로도 위라이언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배터리 산업의 미래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 샹 위라이언 대표는 “우리는 전고체 배터리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서 바스프의 양극활물질을 차세대 반고체 배터리에 적용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 더 많은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상호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반고체 배터리용 양극활물질의 양산 공급은 전고체 배터리 기술의 상용화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은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혁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라 관련 산업의 성장 가능성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기술 혁신이 이루어진 만큼, 바스프와 위라이언의 협력이 두 회사의 미래 뿐만 아니라 배터리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