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낸스코인(BNB)이 최근 사상 최고가인 907달러(약 1억 2,622만 원)를 넘어서는 기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로써 BNB는 과거 2024년 이후 무려 191% 상승하며 강세장 주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시장의 긍정적인 전망은 주요 저항선을 돌파한 데 이어 1,000달러(약 1억 3,900만 원)를 넘어설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BNB의 상승세는 바이낸스와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 간의 디지털 자산 협력 발표 이후 더욱 가속화됐다. 현재 가격은 896달러(약 1억 2,464만 원)로 소폭 조정을 겪고 있으나, 하루 거래량은 18억 달러(약 2조 5,020억 원)를 초과하며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실증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인 사이퍼X는 “BNB의 상승 잠재력은 여전히 강하며, 1,000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는 단기적인 목표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
이번 가격 상승은 단순한 단기적 흐름이 아닌, 장기적인 전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분석가 크립토 파텔(Crypto Patel)은 BNB의 최근 저항선 돌파가 2021년 고점 이후 약 3년간 이어진 하락 추세를 깨는 것이라 평가하며, 앞으로의 가격 목표를 1,217달러(약 1억 6,926만 원)에서 최대 5,455달러(약 7억 5,825만 원)로 제시하였다. 그는 “거대한 상승세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강조하며, 과거 2018년부터의 상승 채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현재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중요한 변수는 숏 포지션 청산 가능성이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코잉글래스에 따르면 BNB 가격이 1,000달러를 넘을 경우, 약 1억 5,200만 달러(약 2,112억 원)의 숏 포지션이 청산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이른바 ‘쇼트 스퀴즈’로 이어져 추가적인 상승 압력을 유발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반면, 롱 포지션의 청산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아 숏 포지션에서 오는 리스크가 더욱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기술적 분석에서도 BNB는 지난 몇 개월간 400달러 부근의 주요 매도 압력을 소화한 후 위로 나아갔으며, 이는 과거 사이클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장기간의 횡보 구간 후 나타나는 강한 상승세를 예고하고 있다. 현재 880달러(약 1억 2,182만 원) 지점은 새로운 지지선으로 작용하며, 앞으로의 가격 움직임에서도 견고한 기반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BNB의 이번 상승은 단순한 단기 거래의 결과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구조적인 상승 국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는 전망에 따라 시장의 주요 관심은 이제 1,000달러 돌파 여부와 더불어 그 이후의 향방에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조정이 있을지라도 전반적인 상승 구조는 유지될 것”이라며 향후 몇 년 간 이어질 강세 사이클의 시작점을 알릴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