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11만 5,000달러(약 1억 6,010만 원)을 상회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바이낸스 거래소의 스테이블코인 비율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바이낸스에서의 스테이블코인 비율(ESR: Exchange Stablecoin Ratio)이 신속하게 떨어지면서, 대규모 매수 여력이 시장에 대기 중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인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ESR은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에 대한 스테이블코인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는 투자자들이 어떤 수준의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작용한다. ESR 수치가 하락했음을 시사하는 경우, 이는 거래소 내 스테이블코인 잔고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가까운 장래에 매수 압력이 증가할 가능성을 암시한다.
실제로 바이낸스의 ESR 수치는 최근 며칠 사이 급격히 하락하다가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특정 자금의 네트워크 이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ESR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점은, 비트코인 매수세가 촉진될 가능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시장의 기술적 분석에서는 혼재된 신호들이 탐지되고 있다. 스위스블록(Swissblock)은 최근 주간 비트코인 마감이 과거에 유사한 더블톱 패턴을 형성했다고 평가하며, 이는 2021년 당시의 분배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당시 비트코인은 정점에 도달한 후 지속적인 매도 압력에 직면했던 바 있다.
그러나 현재의 거시경제적 배경은 이전과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 2021년에는 통화 긴축(QT)과 금리 인상이 시작되었지만, 올해는 양적완화(QE)의 재개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시장을 지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기 기술적 불안과 장기적인 유동성 확대 기대가 맞물려 비트코인 가격에 중립 이상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크립토퀀트는 ESR 수치가 0.000010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승 모멘텀이 둔화되거나 일시적인 조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에 ESR 수치가 낮게 유지되고 비트코인이 11만 5,000달러 이상에서 지지를 받을 경우, 매수세가 강화되어 점진적인 상승 흐름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바이낸스에 지방된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은 시장에 즉시 투입할 potential 매수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향후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과 바이낸스의 스테이블코인 비율은 향후 시장의 움직임을 예고하는 중요한 지표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