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펑 자오,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전 CEO가 최근 텔레그램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밝혀 주목받고 있다. 그는 텔레그램의 메시지 차단 기능이 부족해 무차별적인 스팸 메시지가 쏟아지고, 이로 인해 휴대폰 속도 저하까지 초래되었다고 설명했다.
자오는 텔레그램에 대해 개인적인 불만은 없다고 하면서도, 널리 전달되는 메시지들로 인해 결국 앱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용자 핸들만 알면 누구나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텔레그램의 구조가 공인 및 업계 인사들에게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특성은 사용자들이 스팸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본질을 드러낸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자오는 직접 텔레그램의 설립자 파벨 두로프에게 문제를 전달하기도 했다고 한다. 현재 텔레그램에는 연락처에 없는 사용자의 메시지를 일괄적으로 차단하는 기본 설정 기능이 부재해, 자와 같은 높은 인지도를 가진 사용자들은 스팸에 지속적으로 시달리게 된다. 이는 플랫폼의 구조적 한계로, 사용자 보호를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오는 과거 ‘ReachMe’라는 유료 메시지 플랫폼을 이용하여 하루 수신 메시지를 10건 이하로 제한하는 실험을 시도했으나, 오히려 사기꾼들이 비용을 지불하고 메시지를 보내는 역효과가 발생했다. 더군다나 블록체인 보안 기업 슬로미스트가 해당 플랫폼에서 메시지 요금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하여 서비스 신뢰도에 대한 문제를 더욱 부각시키기도 했다.
오늘날 메시징 앱이 범람하는 시대 속에서, 많은 암호화폐 업계 인사들이 불필요한 소통을 줄이고 중요한 메시지만을 선별할 수단을 모색하는 데 고심하고 있다. 창펑 자오의 경험은 텔레그램과 같은 플랫폼이 사용자들의 요구를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지에 대한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이처럼 스팸 메시지 문제는 단순한 개인적 불편을 넘어서,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및 신뢰도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과제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