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AI·디지털 인재 영입을 위한 파격적 스톡옵션 도입

[email protected]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최근 열린 고객자산 1000조원 획득 기념식에서,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자산 관련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파격적인 스톡옵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래에셋이 2016년 대우증권 인수 이후 처음으로 외부 인재를 스카우트하기 위해 스톡옵션 체계를 도입하는 사례로, 박 회장은 “스톡옵션 없이는 IT 인재 영입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 그룹은 전통 금융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융합 거래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글로벌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할 예정이다. 그중에서도 AI와 디지털 자산 분야의 인재를 우선적으로 대상으로 하고 있다. 스톡옵션 계약을 체결한 직원들은 일정 기간 후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회사의 주식을 구매할 수 있으며, 회사의 성장으로 인해 주식 가치가 상승하면 막대한 시세 차익을 누릴 수 있다.

금융권 소식에 따르면, 박 회장은 최근 인재 영입 시 보상 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된 이유를 설명하며, “AI와 IT 역량을 가진 인재들의 몸값이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이를 수용할 파격적인 스톡옵션 체계를 마련할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글로벌 테크 채용 전문 업체인 해리슨클라크에 의하면, 중간 및 선임급 AI 연구자들은 연간 50만에서 200만 달러(한화 7억에서 30억 원)의 급여 패키지를 받으며, 최고 인재들은 이보다 훨씬 높은 급여를 요구할 수 있다.

더불어 박 회장은 외부 인재 영입뿐만 아니라 내부 인재 유치에도 힘쓰고 있다. 기념식에서 그는 디지털 부문 임직원들을 전면에 배치하여 내부 인재에 대한 높은 가치를 부각시켰으며, “모든 자산 거래를 포함한 ‘글로벌 디지털 월렛’ 시스템을 내년 6월까지 출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인재 스카우트와 인수 합병(M&A) 등 필요한 대규모 투자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 경쟁력 있는 인재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열거했다.

미래에셋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디지털 자산 및 AI 분야에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며, 자산 관리 및 투자 분야에서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스톡옵션을 통한 인재 영입과 내부 인재 육성은 향후 미래에셋의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