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반도체 산업에 진출한 지 50년이 되는 올해, 주가는 약 33% 하락하며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AI 중심의 반도체 시장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실적 전망이 불확실해진 데 따른 것이다. 반면, 파운드리 경쟁사인 TSMC는 주가가 두 배 이상 상승하는 등 시장에서 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도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50년 전 고위험 고수익 사업으로 반도체에 진출해 글로벌 IDM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AI 중심의 반도체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실적적으로 부진을 겪고 있다. 또, 그간 반도체 사업 부진 시 매출을 보완해온 스마트폰 사업마저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아 성장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SK하이닉스는 AI 가속기 성능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며 삼성전자와의 주가 차이를 벌리고 있다. 이 시장에서 만큼은 미국의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가 주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아직 HBM 시장에서 가치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증권가 전문가들에 따르면, AI 투자 시장에서 핵심 업체인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AI 중심의 투자 시장에서 크게 소외된 상황이다.
AI 시장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그래픽카드(GPU) 부문에서 엔비디아의 주가는 올해 184.6% 상승하였다. 반면, AI 중심의 급성장이 이루어지는 이 시점에 삼성전자는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해 주가가 둔화되고 있다. TSMC는 파운드리 사업에서 삼성전자의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잡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D램과 같은 저가 반도체 시장에서의 마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가 저렴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래 12개월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9.5배로, TSMC의 22배를 포함한 미국 반도체 업계의 평균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가 향후 회복할 가능성을 지닌 기업이라는 긍정적인 해석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반도체 산업에서의 주가 회복을 위해 보다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AI 중심으로 변화하는 시장에서의 적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향후 삼성전자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다시금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선, 기술 혁신과 전략적 투자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