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에크 CEO “이더리움(ETH), 월가의 주요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

[email protected]



얀 반 에크(Jan van Eck) 반에크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ETH)이 월가의 주요 자산으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더리움이 금융기관이 주도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금융 혁신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 에크 CEO는 “앞으로 이더리움 또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기반의 기술이 금융 거래의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는 월가에서도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여기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최근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 자금 유입이 급증하는 추세와 맞물려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ETF 분석업체인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블랙록($BLK)의 이더리움 ETF인 ‘ETHA’는 단 하루 만에 2억 6,200만 달러(약 3,641억 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추가로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ETHA는 총 170억 달러(약 23조 6,300억 원) 이상의 운용 자산을 보유하며,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반에크의 이더리움 ETF인 ‘ETHV’는 같은 기간 동안 335만 달러(약 47억 원) 규모의 자금이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미미한 성과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 에크는 자체 ETF 실적보다 이더리움 생태계의 성장 가능성과 제도권 포함 가능성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전문 업체인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한 투자자는 최근 이더리움을 계속 매수하며 롱 포지션을 확장하고 있다. 그의 현재 순 포지션 규모는 약 2억 9,800만 달러(약 4,142억 원)에 달하며, 이더리움 가격이 4,343달러(약 604만 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청산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코인게코 기준으로 4,571달러(약 636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더리움은 기술적, 제도적, 투자 관점에서 모두 월가의 중심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반 에크 CEO의 발언은 이더리움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 제도권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향후 금융 시장에서 이더리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을 시사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