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소득 분리과세 결정 후 금융주 하락세 지속

[email protected]



정부가 배당소득에 대한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35%로 설정한 이후, 금융주 및 고배당주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시장의 실망감이 선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최근 5거래일 동안 하나금융지주는 7.68%, KB금융은 6.65% 하락하며, 신한지주와 우리금융지주도 각각 4.49%와 3.33% 떨어지는 등 금융주 전반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31일 정부의 정책 발표 이후 금융시장에서는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당초 정부는 배당성향이 35% 이상인 상장사에 대해 25%의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구상했으나, 부자 감세 논란을 피하기 위해 최고세율이 35%로 결정됐다. 이로 인해 금융 투자자들은 기대했던 세제 혜택이 줄어들게 되어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조선 및 방산업종으로 수급이 쏠리게 되자, 그간 관세 부담에서 벗어난 금융주에 대해서는 매도세가 강해졌다. 이와 함께 KB금융은 이날 장 마감 기준으로 전일 대비 1.68% 하락하며 11만9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신한지주(-1.31%), 하나금융지주(-0.70%), 우리금융지주(-1.20%) 등 주요 은행들도 모두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또한, 금융주뿐만 아니라 삼성생명(-1.10%)과 삼성화재(-0.79%) 등의 보험주, KT&G(-0.61%)와 제일기획(-0.85%), LX인터내셔널(-0.46%)과 같은 비금융 배당주도 하락을 기록하여 투자자들은 큰 혼란을 겪고 있다. 반면, HD현대(1.06%), 두산(6.75%), LS(2.42%) 등 수출 관련 지주사는 강세를 보이며 배당주 중 차별화된 양상을 나타냈다.

더군다나 고배당주를 포함한 ETF들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최근 5거래일 간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은 5.41% 하락하며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혜택이 축소되더라도 금융주들의 주주환원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재 4대 금융지주의 경우 주주환원율이 40% 후반에 이르면서 배당보다는 자사주 매입에 중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도 아직 1배를 넘지 않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이 주가를 부양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만약 배당소득 분리과세 혜택이 커지면 투자자는 늘어나지만 배당금이 증가하여 자사주 매입 여력은 줄어들게 된다.

결국, KB금융은 올해 주주환원율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올해 배당성향은 23%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치는 자사주 매입 규모를 줄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금융과 기업은행은 배당성향이 30% 초반에 불과하며, 신한지주와 하나금융의 배당성향은 각각 22.4%와 25.9%로, 35%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주주환원 정책의 큰 수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