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드 파이낸스의 토큰화 주식, 3억 달러 거래량 돌파…혁신일까, 재포장일까?

[email protected]



스위스 기반 핀테크 기업 백드 파이낸스(Backed Finance)가 최근 출시한 토큰화 주식 상품 ‘xStocks’가 출시 한 달 만에 거래량 3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 상품은 애플, 아마존, 테슬라와 같은 미국 상장 주식을 24시간 온체인에서 사고팔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전통 주식시장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겉만 번지르르한 재포장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백드 파이낸스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와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을 통해 60여 종의 미국 주식을 ‘토큰’ 형태로 거래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들 각 토큰은 실물 주식에 1대1로 연동되어 있으며, 이론적으로 언제든지 실제 주식으로 상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요소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했으며, 출시 직후 불과 4주 만에 거래량이 3억 달러에 도달하고 활성 지갑 수가 수천 개에서 수만 개로 급증한 결과를 가져왔다. 24시간 거래 가능, 소액 거래 및 국경 없는 접근성이 글로벌 투자자들의 열렬한 호응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점은 이 상품이 ‘주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주식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투자자가 소유하는 것은 애플이나 테슬라 주식 그 자체가 아니라, 이를 추종하는 ‘토큰’에 불과하다. 이 토큰은 해외 특수목적법인(SPV)이나 브로커가 실물 주식을 보유한 후 발행하며, 투자자는 실물 주식의 의결권이나 배당권 등의 기본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 이는 유럽에서 오래전부터 시행되고 있는 CFD(차액결제거래)의 구조와 유사하며, 본질적으로는 법적 소유권이 보장되지 않는 파생상품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시장 관계자들은 xStocks의 구조적 한계 또한 지적하고 있다. 유동성의 문제는 특히 주말이나 거래량이 적은 시간대에 두드러지며, 현재 스프레드가 넓은 상황에서 가격의 괴리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게다가 가격은 온체인이 아닌 발행사의 오프체인 시스템을 통해 동기화되기 때문에 시세 반영이 늦거나 오차가 발생할 위험이 상존한다. 또한, 시장조성자(MM)가 진입하기 어려운 복합 구조로 인해 리스크를 감수하려는 플레이어가 많지 않다는 점도 이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지금의 토큰화 주식이 진정한 ‘월가 민주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SEC(미 증권거래위원회) 등록, 온체인 네이티브 발행, 디파이와의 완벽한 호환성, 즉시 결제 구조 등의 문제가 동시에 해결되어야 한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토큰화 주식이 새로운 철로에 얹은 기존 제품일 뿐이라고 지적하며, 진정한 혁신이란 전통 금융의 폐쇄성과 블록체인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는 구조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xStocks의 초기 성과는 눈부시지만, 마케팅 효과가 소멸하고 초기 투자 열기가 시들해질 때도 이 시장이 지속 가능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결국, 토큰화 주식의 미래는 ‘재포장된 상품’을 넘어 진정한 온체인 증권의 출현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