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백악관 연회장 건설에 기부한 기업들이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막대한 정부 계약을 수주한 사실이 드러났다. 미국의 소비자단체 퍼블릭 시티즌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기부자들은 지난 5년 동안 총 2790억 달러의 정부 계약을 따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회장 건설을 위한 기부활동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에 언급된 24개 기부 기업 중 14곳이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불공정한 노동 관행이나 소비자 기만과 같은 이유로 연방 정부의 제재를 받은 이력이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은 직원들의 부상 사실을 은폐했다는 이유로 법무부의 조사를 받았으며, 애플 역시 노동권 침해 혐의에 직면했으나 최근 노동관계위원회(NLRB)가 관련 혐의에 대한 조치를 취소한 바 있다.
퍼블릭 시티즌의 로버트 와이즈먼 공동대표는 성명을 통해 “이들 기업은 연방정부와의 긴밀한 이해관계를 유지하며, 명백히 트럼프 행정부의 지지를 노리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변덕을 지원하기 위한 수백만 달러의 기부는 정부 규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십억 달러의 비용에 비하면 금방 감추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공공건물이 공적 자금으로 건설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미국 유권자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이에 대해 반박하며, 민간 기부금은 납세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해 상충을 주장하는 이들은 결국 납세자들이 그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비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보고서에는 록히드마틴과 같은 기업들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든 과거 행정부와 협력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한다. 록히드마틴은 높은 기술력을 발휘하여 군과 동맹을 지원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면서도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이번 기부와 정부 계약 간의 관계는 단순한 기부가 아닌, 정치적 로비와 이해관계의 복잡한 얽힘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미국 내 기부 문화와 정치적 연계성에 대한 논란을 다시 한번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