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 리서치 기업인 밸류파인더는 5일 나노실리칸첨단소재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 회사는 나노플랫폼 기술, 실리콘 음극재, 그리고 AI 데이터센터라는 세 가지 핵심 사업 부문에서 성장 모멘텀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어 턴어라운드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특히, 글로벌 2차 전지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인공지능(AI) 인프라 수요의 확대가 어우러지며 나노실리칸첨단소재의 실적 개선세가 구체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부터 실리콘 음극재의 양산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며, “보안사업의 고객 다변화와 신규 데이터센터 사업의 추진이 더해져 다각적 성장 스토리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노실리칸첨단소재는 전자기장 변화에 따라 색상과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는 ‘액티브 나노플랫폼’ 솔루션을 핵심 사업으로 가지고 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이 기술은 2022년부터 중동 지역 정부에 의약품 위조방지용 납세증지(M-Certi)를 납품하는 데 성공했으며, 현재까지 누적 10억 장 이상이 공급되었다. 이로 인해 연간 약 3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아시아, 아프리카, 북미 등으로 공급을 확대하는 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장기 공급이 가능한 안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어 추가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또한, 나노실리칸첨단소재는 최근 비분쇄형 실리콘 음극재 공정을 개발하여 성능을 대폭 개선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이 공정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초기 쿨롱 효율(ICE), 그리고 낮은 탄소 함량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 제품들과의 성능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원은 “10년 이상의 연구를 통해 계명대 이창섭 교수팀과 협력하고 있으며, 삼성SDI, LG화학, 에코프로에서 온 전문가를 영입하여 상용 기술의 내재화를 완료했다”면서, “현재 연 600톤 규모의 양산 설비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자회사 솔트라이트를 통한 AI 데이터센터 사업 역시 성장 축으로 주목하고 있다. 솔트라이트는 인천 지역에서 110M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계획 중이며, 첫 번째 10MW 부지에 대한 건축허가를 완료하였고, 내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연구원은 “솔트라이트는 임대운영과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해 임대수익과 매각차익을 동시에 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실리콘 음극재 기반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가능성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결론적으로, 나노실리칸첨단소재는 여러 가지 성장 동력이 마련되어 있으며, 실리콘 음극재와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통해 턴어라운드에 필요할 모든 요소를 충족하고 있다고 본다. 이런 지식 기반의 혁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향후 회사의 성장 잠재력은 더욱 부각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