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가드, 비트코인·이더리움 ETF 수용…암호화폐 제도화의 새로운 전환점

[email protected]



미국의 대형 자산운용사 뱅가드(Vanguard)가 암호화폐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예정이다. 뱅가드는 약 15,290조 원에 달하는 자산을 관리하며, 자사 브로커리지 플랫폼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를 포함한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할 계획이 밝혀졌다. 이는 기존의 보수적인 태도를 완전히 벗어던진 것이며, 암호화폐에 대한 제도권 수용이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이전까지 뱅가드는 블랙록이 비트코인 ETF인 IBIT를 출시하며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고 있는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명확한 선을 긋고 있었다. 뱅가드는 플랫폼에서 모든 형태의 암호화폐 ETF를 금지하며 전통 자산 위주의 투자 전략을 고수해왔다. ETF 전문가 에릭 발추나스는 뱅가드의 이러한 스탠스가 원자재 등의 대체 자산에 대한 거부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지난 몇 달간 경영 변화가 뱅가드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블랙록의 IBIT 출시에 기여했던 살림 람지(Salim Ramji)가 올해 뱅가드의 CEO로 부임하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높아졌다. 초기에는 뱅가드가 변화 가능성을 배제했지만, 이번 결정은 회사의 암호화폐 ETF에 대한 태도를 급격히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 금융시장에서 ETF의 도입이 일반 투자자와 기관 참여 모두에게 중요한 진입 장벽을 허물어주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단순한 금융상품이 아닌 암호화폐라는 자산군 자체에 대한 제도권의 공식 인정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뱅가드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Strategy)의 주요 자금 제공자로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의 최대 보유 기업 중 하나로, 뱅가드는 그로 인해 간접적으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혜택을 누려왔다. 하지만 이제는 이를 넘어서 직접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참여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 내 다양한 금융기관들이 암호화폐를 자산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이는 내년 미국 대선을 대비한 자산 배분 전략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분석가들은 뱅가드가 내린 이번 결정이 정책적 안정성과 규제 명확성이 일정 기준 이상에 도달했다는 내부 평가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 보호와 시장 위험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SEC와 연준 중심의 감독 체계가 안정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견해 역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이번 ETF 허용 방침은 단순한 상품 추가가 아닌, 전통 금융의 주요 플레이어인 뱅가드가 암호화폐를 공식적인 자산군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시장에 큰 변화의 서막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ETF 기반의 암호화폐 투자 활성화와 함께 기관 자금의 유입 촉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