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크셔 해서웨이($BRK.A)가 2025년 2분기에 123억 달러(약 17조 1,0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면서 주목을 받았으나,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BTC)에 대한 헷지 기회를 놓친 것이 안타깝게 드러났다. 분석에 따르면, 만약 버크셔가 자산의 5%를 비트코인에 투자했더라면 약 8억 5,000만 달러(약 1조 1,815억 원)의 수익을 추가로 올릴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동안 버크셔는 크래프트 하인즈 지분의 평가 손실로 50억 달러(약 6조 9,500억 원)의 손실을 겪었으며, 이에 따라 총 지분법 손실은 46억 달러(약 6조 4,000억 원)에 이르렀다. 이러한 성과 부진은 비트코인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점에서 회사의 전략적 결정이 진일보되어야 한다는 반증으로 해석된다.
버크셔의 주가는 연초 대비 3.55% 상승에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16.85% 상승했고, S&P 500 지수도 7.51% 상승했다. 시장 수익률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던 버크셔의 과거 명성과는 대조적으로, 워렌 버핏이 CEO 자리에서 물러나기로 한 결정 이후 자산 운용 전략의 한계가 점점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전통 산업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고성장 자산군 대비 수익률에서 점차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자산인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군에 대한 보다 전방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이번 분기의 실적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다 전략적이고 혁신적인 접근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는 시장에서의 기대가 여전히 높지만, 다른 고성장 자산에 비해 기존 자산 배분 전략의 유효성이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버크셔 해서웨이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산업 중심의 전략에만 의존하기보다는 디지털 자산을 포함한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적절한 포트폴리오 분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