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낸스가 최근 서울에서 열린 제2회 BBS에서 한국 수사기관과의 협력 성과를 발표하며, 보이스피싱 및 기타 사기 범죄와의 전쟁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인 것을 강조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동안 한국의 수사기관으로부터 받은 협조 요청은 총 740건에 달해 전년 대비 40%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한국의 수사기관들이 가상자산 추적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민재 바이낸스 전문조사관은 “사기범들은 자금을 세탁하기 위해 여러 거래소를 거쳐 자금을 이동시키지만, 우리는 이를 끝까지 추적했다”며 약 700억원에 달하는 사기의 피해 자금을 동결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돼지도살(Pig Butchering)”이라고 불리는 악성 스캠 조직의 자금을 동결한 과정에서의 상세한 조치를 설명했다. 이 조직은 피해자에게 신뢰를 쌓은 뒤 자금을 빼돌리며, 자금을 9개의 지갑을 거쳐 세탁하려 시도했지만, 바이낸스 측의 긴밀한 조사와 민관 공조 덕분에 성공적인 추적과 동결이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바이낸스 수사팀은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등 데이터 분석 업체와 협력하여 범죄자의 자금 흐름을 분석하고, 부정 의심 계좌를 정확하게 확인했다. 김 조사관은 “공공과 민간의 협력이 없었다면 이러한 성과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다수의 경찰 요청과 연계된 정보 제공의 중요성도 덧붙였다.
또한, 이 회사는 생명과 직결된 긴급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이 납치된 사건에서도, 바이낸스 수사팀은 범죄와 연관된 지갑 정보를 경찰에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피해자가 무사히 귀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한편,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는 법률적으로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를 즉시 동결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 조사관은 “법적 의무가 없더라도 범죄와의 연관성이 의심되는 경우, 우리는 자발적으로 동결 및 수사 협조를 진행해왔다”고 설명하며, 글로벌 제재 리스트 모니터링 및 이상 거래 감지와 같은 검증 절차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바이낸스가 한국 시장에서의 규제 준수 의지를 입증하고, ‘그림자 금융’이라는 오명을 벗기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해석하고 있다. 바이낸스 관계자는 “우리의 최종 목표는 범죄자들이 바이낸스를 사용하면 반드시 잡힌다는 인식을 가지게 만들어, 아예 우리의 플랫폼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