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생태계 활성화 위해 코스닥 시장 개혁 필수…정부의 로드맵 필요

[email protected]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벤처기업협회·코스닥협회·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정부에 ‘코스닥 시장 활성화 로드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혁신적인 벤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창업에서 성장, 회수 그리고 재투자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회복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코스닥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퇴출 기준을 엄정하게 설정해야만 장기적인 기관투자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코스닥 진입 장애 요인을 지적하며, 현재 코스닥이 경험하고 있는 규제가 코스피와 유사하고, 심사 기준이 엄격하며,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지나치게 보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민간 주도의 책임형 상장 구조 도입과 성장 가능성에 기반한 질적 심사를 제안하며 혁신 기업의 진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은 국민연금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코스닥에 대한 최소 투자 비율을 제도화하고, 이를 시가총액의 약 3%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고배당을 유도하기 위해 코스닥 상장주식을 장기 보유할 경우 배당소득 세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그는 이펀드의 규모를 코스닥 시가총액의 약 10%인 30조원으로 설정하고, 민간 자금을 매칭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 펀드는 코스닥 예비 상장기업의 장내 거래, 블록딜 및 공모주에 50%를, 중소·벤처기업과 코스닥 상장기업 신주에 30% 이상을 투자하도록 운용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조치들은 벤처기업 생태계의 혁신성을 높여 ‘코스닥 3000 시대’를 열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지원이 필요한 이 시점에서, 무엇보다도 코스닥의 활성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