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완화장치(VI)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일정 가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거래 방식이 일시적으로 단일가 매매로 전환되며, 이때 2분 동안의 안정 기간과 함께 30초의 임의 연장 시간을 설정하여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VI가 발동된 주요 종목들은 다음과 같다. 탑코미디어(134580)는 두 번의 정적 발동이 있었으며, 발동 가격은 2,350원이었고, 이는 기준 가격 2,135원 대비 10.07% 상승한 수치로 나타났다. 첫 번째 발동은 12:51:28에 이루어졌고, 해지 시간은 12:53:33이었다. 이어서 매커스(093520)는 20,700원의 기준 가격을 바탕으로 12:44:02에 10.14% 증가한 22,800원으로 발동됐다. 오리엔탈정공(014940)은 같은 기간 내에 7,750원에서 6,970원으로 하락해 10.06%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그 외에도 동적 VI가 발동된 뉴보텍(060260)은 기준 가격 1,577원에서 1,481원으로 하락한 사례가 있었으며, 이는 -6.09%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한온시스템(018880) 또한 정적 VI가 발동되었고, 기준 가격 3,745원에서 3,370원으로 하락하면서 -10.01%의 변화를 나타냈다.
한편, 변동성완화장치의 발동은 특정 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각 종목별로 성격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VI는 거래 시작 전의 기준가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거래가 진행된 후에는 직전 단일 가격으로 전환된다. 반면 동적 VI는 호가 제출 직전의 체결 가격을 기준으로 발동 가격을 결정한다. 이러한 규정은 투자자들이 공정하게 가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최근의 데이터에 따르면, 발동율은 KOSPI 200 구성 종목에서 동적 VI가 3%의 변동성 한도를 갖고, 정적 VI는 2%로 설정되어 있는 반면, 일반 유가 종목 및 코스닥 종목에서는 6% 및 4%의 변동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종목에서 거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주며,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변동성완화장치는 주식 거래에서 가격 변동성을 안정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각 종목의 발동 사례는 이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인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