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영국에서 발표된 코로나19 대유행을 다룬 독립 조사위원회의 보고서는 당시 정부의 대응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약 팬데믹 초기 봉쇄 조치가 2020년 3월 16일보다 일주일 더 빨리 시행되었다면, 잉글랜드에서만 약 2만 3000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과는 영국이 코로나19로 겪은 커다란 인명 손실, 즉 22만 6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고려할 때 매우 중대한 내용이다.
보고서는 팬데믹의 초기 단계에서 정부의 반응이 매우 느리고 부적절했음을 강조했다. 특히 2020년 2월 한 달은 “잃어버린 한 달”이라며 정부가 이탈리아의 위기 상황을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당시 정부는 확산의 심각성 및 필요한 대응의 시급성을 적절하게 평가하지 못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었던 기회를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영국 정부는 초기에는 비상 계획을 수립하는 데 실패했으며, 4개 구성국의 체계적인 대응 또한 부족했다”라고 지적했다. 느린 대응과 위협에 대한 과소평가는 결국 2020년 후반에서도 반복되었다. 이러한 지연과 무반응이 발생한 배경에는 당시 보리스 존슨 총리의 리더십 부재와 정부 내 혼란스러운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코로나19 관리에서 리더의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대응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시사한다.
특히 유가족들은 존슨 전 총리에 대해 큰 원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의 불확실한 대응이 얼마나 많은 피해를 초래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존슨 전 총리는 최근 코로나19 공공조사 청문회에서 희생자와 가족들의 고통에 대해 깊이 사과하였고, 당시 초기 대응의 실수를 인정하는 발언들이 이어졌다. 그는 코로나19 상황을 간과한 점과 대규모 행사 취소 결정을 미루었던 점에 대한 후회를 전했다.
결과적으로, 영국의 코로나19 대유행 대응에서 드러난 이와 같은 교훈들은 향후 비슷한 대유행 상황에서 정부와 관계자들이 빠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보고서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영국이 겪은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