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랭킹을 높이기 위한 투자 전략, 빅테크와 가상자산 주목해야”

[email protected]



김화중 미래에셋증권 PWM 부문 대표는 현재 새로운 부의 흐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기에는 과거와 같은 안정적인 투자에만 안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명확히 “부를 지키는 것만큼 부의 랭킹을 올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신흥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현재에는 적절한 투자로만 지속 가능한 부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올해를 기점으로 가상자산과 미국 및 중국의 빅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나스닥100 상장지수펀드를 지속적으로 매집할 것을 권장했다. 특히 “지금은 새로운 투자 기회가 산재한 시기”라며 “부동산이나 채권 중심의 투자로 얻는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자산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그는 한국의 럭셔리 마켓 인플레이션이 경제 평균을 초과하고 있으며, 2~3%의 확정금리를 추구하는 것은 실질 구매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고급 호텔과 명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을 무시할 경우 부의 순위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미국과 중국의 테크 기업들을 향후 투자 대상으로 제시하며, 중국 증시의 잠재력도 강조했다. “중국 정부의 지원책으로 인해 홍콩 증시에 대한 기회가 재부각될 것”이라며, 더욱이 반도체 및 전기차 분야에서 중국의 기술력에 큰 주목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의 규제를 통해 오히려 기술 자립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설명과 함께, 그 사례로 중국의 반도체 제조업체인 SMIC의 기술력이 향후 미국과 근접할 것이라는 전망도 곁들였다.

김 대표는 전기차 업체들 간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지만, 구조조정을 통해 1등 업체들이 글로벌에서 경쟁력과 가격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그러면서 미래에셋증권 PWM 부문이 약 30조원의 고객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고객 자산배분을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전문성과 노하우의 중요성을 피력하며, 비상장 회사를 보유한 자산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투자 방침은 단순히 안정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자산에 집중함으로써 부의 랭킹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시기에는 기존의 투자 방침을 재조정하고 혁신적인 자산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