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이사회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심각한 분열을 겪고 있다. 1996년에 설립된 이사회는 수십 년 동안 북극 지역 국가들 간의 협력 체계를 유지해왔으나, 러시아가 다자 협력 논의에서 사실상 배제됨에 따라 덴마크와 노르웨이 등 북극권 유럽 국가들이 ‘반러시아’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열렸던 북극서클총회는 이러한 반감을 더욱 증폭시킨 장이 되었다.
이번 총회의 첫 번째 세션에서는 ‘트럼프와 푸틴, 북극 다자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미국과 러시아의 강대국 일방주의가 북극 지역에서 주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러시아 측 인사가 참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행사장에는 많은 청중이 몰렸다. 이 문제는 북극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국제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진행을 맡은 에다 아야이딘 교수는 포퓰리즘 리더가 국가 기관을 결여시키고 권력을 개인화하는 경향을 비판하며, 푸틴 대통령의 북극 군사화가 이러한 경향의 상징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는 협력과 규범 기반의 질서를 저해한다고 덧붙였다. 점점 더 많은 참가자들이 북극 이사회의 재구성을 주장하고 있으며, 새로운 이사회는 안보와 방어 문제를 포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덴마크 외교장관인 라스 뢰케 라스무센은 북극 이사회의 역할이 과거와는 달라진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공동선을 위한 집단적 행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를 배제하자는 주장은 현실적으로 실행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러시아는 북극지역의 50~60%를 소유하고 있으며, 북동항로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주요 항구도 많은 수가 러시아의 소유다. 이러한 실질적 자원과 경험은 이 지역에서의 협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 또한 북극 항로 개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와의 협력 없이 이를 이루기 어렵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주러시아 대사 내정자 이석배는 러시아와의 지속적인 교류가 필요함을 강조하며, 북극 협력은 항구적 평화 구축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
결론적으로, 북극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이용을 위해서는 다자간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재확인되며, 앞으로의 국제 사회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다수의 국가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