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국가들이 1961년 이후 최장 폭염에 시달리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례적으로 기온이 30도를 넘는 날이 연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프롤로염 발생과 우려되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북유럽에 있는 많은 주민들이 이 폭염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노르웨이 북극권 기상 관측소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기온이 섭씨 30도를 초과한 날이 13일에 달하며, 스웨덴 북부의 요크모크와 하파란다에서는 각각 15일과 14일간 지속적인 폭염이 발생했다. 핀란드의 경우, 3주 연속으로 30도 이상의 더위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1961년 기록을 50% 초과한 수치다. 스웨덴 기상·수문연구소의 과학자는 “이와 같은 폭염 기록을 찾으려면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며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폭염은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며, 북해 지역의 해수온도도 예년보다 높은 상황이다. 기온이 평년 대비 8~10도 상승하면서 산불, 폭풍, 낙뢰와 같은 기상이변 현상이 동반되고 있다. 특히 북유럽 지역에서는 냉방시설이 일반화되어 있지 않아, 갑작스러운 고온 현상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핀란드의 병원 응급실은 폭염 환자로 붐비고 있으며, 시민들은 더위를 피하기 위해 아이스링크장과 같은 장소에 모이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순록을 기르는 농가에서는 고온으로 인해 동물들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해를 입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핀란드의 라플란드 주 산타 마을에서는 농업 팀이 순록에게 충분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지침을 내리기도 했다.
북유럽은 여름철에 ‘시원한 휴가(coolcation)’를 기대하며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인기 지역이었다. 그러나 최근 폭염으로 인해 서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고 있어 관광업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핀란드 기상청의 헤이키 투오멘비르타는 “앞으로 폭염이 더 자주, 더 길고 강하게 나타날 것이며, 북유럽은 이를 받아들일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처럼 북유럽이 경험하고 있는 이례적인 폭염은 기후 변화와 관련이 깊으며, 지역 주민들과 관광업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 이 지역이 이러한 극단적인 기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