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롬비아에서 2024년 한 해 동안 약 1136㎢의 산림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서울 전체 면적의 약 2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 지역에서의 산림 훼손은 불법 개발과 환경 범죄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024년 9월 23일, 콜롬비아 파이마도 인근 키토강 주변의 생태계가 불법 채굴로 인해 심각하게 훼손된 상황이 보고됐다.
최근 A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콜롬비아 정부는 아마존 열대우림 지역에서의 산림 훼손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대비 산림 훼손이 43% 증가하며, 이는 20여 년 만의 최저치에서 큰 반등으로 나타났다. 콜롬비아 국가기상청(IDEAM)은 목축을 위한 초지 확장, 불법 작물 재배, 불법 채굴, 그리고 무분별한 인프라 개발 등의 요인이 산림 훼손의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전체 산림 손실의 65%인 770㎢가 발생했으며, 이는 서울 면적의 약 1.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콜롬비아 환경부는 2024년 1분기에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 강화 및 환경 범죄 단속 덕분에 약간의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연간 산림 훼손 현황은 전반적인 흐름과는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환경부 장관 레나 에스트라다 아뇨카지는 정부의 산림과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노력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함을 드러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산불이 산림 훼손을 더욱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메타, 카케타, 과비아레, 푸투마요 등 ‘아마존 아크(Amazon Arc)’로 불리는 지역에서 불법 목축 및 도로 건설 등의 불법 개발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립공원 보호구역 내 산림 훼손도 증가 추세를 보이며, 린과 라 마카레나, 치리비케테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들조차 안전하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는 이러한 불법 개발을 단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불법 개발 움직임이 강력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콜롬비아의 생태계와 지역 주민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