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대학교, 트럼프의 고등 교육 협약 체결 거부

[email protected]



브라운대학교가 15일(현지시간) 인종과 성별을 고려하지 않는 입학 정책을 포함한 연방정부와의 협약 체결을 거부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크리스티나 팩스턴 브라운대 총장은 협약에 대한 우려를 담은 서한을 트럼프 행정부에 전달하며, 이 협약이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고 브라운대의 지배구조 자율성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트럼프 행정부가 제정한 ‘고등 교육 우수 협약(Compact for Academic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으로, 미국의 9개 주요 대학에 서명을 요구해왔다. 이 협약의 주요 내용은 입학 및 채용 과정에서 인종이나 성별 고려 금지, 외국인 학부생 등록 비율 15% 제한, 대학입학자격시험(SAT) 성적 제출 의무화, 그리고 보수적 견해를 비판하거나 억압하는 조직의 개편 또는 폐지를 포함한 10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협약에 서명하면 연방 정부의 지원금을 비롯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됐다.

브라운대가 협약에 서명을 거부한 것은 MIT에 이어 두 번째로, MIT의 샐리 콘블루스 총장은 과학 연구에 대한 재정 지원이 과학적 성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유를 들어 협약 체결을 거부한 바 있다. 이러한 행보는 대학 교육의 자율성과 학문의 독립성을 수호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한편, 이와 같은 협약의 요구는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진보 성향의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협약에 서명하는 주 대학에 대해 엄청난 규모의 예산 삭감을 예고했다. 이 예산 삭감에는 캘리포니아 장학금(Cal Grants)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대학들이 정치적 압박 속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이후 하버드대와 듀크대 등 미국 명문 대학들을 대상으로 연구 지원금을 중단하며, 대학 내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을 강조하는 DEI 정책의 폐기를 압박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대학 교육의 방향성과 사회에서의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고등 교육계의 정책 변화를 더욱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