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에 직격탄을 맞은 브라질과 인도가 연대의지를 다지며 다자주의 기반의 교역 확대에 협력하기로 했다. 지난 7일,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약 1시간에 걸쳐 전화 통화를 통해 미국의 최근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현재 두 나라 모두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부과된 50%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브라질은 전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에 대한 쿠데타 모의재판 진행으로 인해 이러한 고율 관세를 부과받고 있으며, 인도는 기존 25% 관세에 러시아산 석유 수입에 따른 추가 25%가 합산되어 전체 50%의 관세가 부과된 상태다. 이번 전화 통화에서 두 정상은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다루며, 이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브라질 대통령실은 두 나라가 다자주의를 지키고 현재의 도전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더욱 깊은 협력 가능성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룰라 대통령은 내년에 인도를 국빈 방문할 계획이며, 지난달 모디 총리와 논의한 ‘2030년까지 양국 무역 200억 달러 확대’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논의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소통은 브릭스 국가 간의 협력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룰라 대통령은 브릭스 차원에서 미국의 고율 관세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브릭스는 그동안 미국 달러의 지배에 대응하기 위한 대안을 찾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달러를 버리는 나라에 대해서는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두 나라의 정상은 인도와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간의 우대 무역 협정의 확대 및 실시간 결제 시스템에서의 협력도 논의했다. 브라질의 Pix와 인도의 UPI 시스템 간의 기술 및 운영 정보 공유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는데, 특히 Pix는 미국 내 카드사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여겨져 미국의 무역법 301조에 따라 불공정 무역 조사 대상으로 지목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룰라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테이블이 마련되더라도 Pix는 결코 협상 의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결론적으로, 브라질과 인도의 연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조치에 대한 공동 대응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제 경제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두 나라의 협력이 더욱 긴밀히 이루어진다면, 보다 공정한 무역 환경 조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