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 거물 블랙록(BlackRock)이 이더리움(ETH)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로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주간 펀드 전체적으로는 5900만 달러(약 817억 원) 순유출을 겪었지만, 블랙록의 iShares 이더리움 ETF에는 단 이틀 만에 총 8억 5700만 달러(약 1조 1,920억 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의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높은 신뢰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국의 데이터 분석 회사 파사이드 인베스터스(Farside Investors)에 따르면, 8월 14일 하루 동안 iShares 이더리움 ETF에는 5억 1900만 달러(약 7,204억 원)가 유입되었고, 다음 날에는 추가로 3억 3800만 달러(약 4,701억 원)가 더해졌다. 블랙록은 이미 지난 7월 말까지 114억 달러(약 15조 8,460억 원)에 달하는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최근 ETF 거래량 증가가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번 주에만 이더리움 ETF로 유입된 총 자금은 28억 5000만 달러(약 3조 9,615억 원)에 달하며, 거래량은 170억 달러(약 23조 6,300억 원)를 초과했다. 특히 8월 12일에는 하루 동안 10억 1000만 달러(약 1조 4,039억 원)의 사상 최대 순유입액을 기록하며 이더리움 ETF 역사상 가장 바쁘고 활발한 거래일로 남았다.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은 이더리움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ETH는 0.7% 상승하며 4,700달러(약 654만 원)선을 회복했으며, 2021년에 기록한 사상 최고가인 4,891달러와는 불과 3% 거리를 두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프로젝트 크립토(Project Crypto)’와 같은 정책적 진전은 이더리움의 제도권 채택 및 성장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일부 고래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을 위해 매도 압력을 가함으로써 시장에 일시적인 불안감을 초래했다. 그러나 ETF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와 기업 차원의 대량 매수 계획이 이를 흡수했으며, 불안이 빠르게 가라앉았다. 예를 들어, 비트마인(Bitmine)은 이더리움의 전체 공급량의 약 5%에 해당하는 220억 달러(약 30조 5,800억 원) 상당의 ETH 매입 계획을 밝혔으며, 이를 포함하여 전체 기업 차원의 누적 목표액은 304억 달러(약 42조 2,560억 원)로 알려졌다.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더리움의 연말 목표가를 기존 4,000달러에서 7,500달러(약 1,043만 원)로 대폭 상향하고, 2028년 전망치는 종전의 7,500달러에서 2만 5,000달러(약 3,475만 원)로 조정했다. 이러한 조정은 기관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업 준비금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더리움의 가치 재평가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더리움은 제도권 금융과 암호화폐 시장을 연결하는 핵심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블랙록의 행보는 그 시작점을 의미한다. 현재 ETH는 단기 기술 저항을 넘는 순간 새로운 랠리의 출발점이 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따라서 블랙록의 이더리움 투자이력이 가늠할 수 있듯, 앞으로의 시장 전망은 더욱 밝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