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대규모 자산 이동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블랙록은 약 6,000억 원 규모의 자산을 코인베이스 프라임(Coinbase Prime)으로 이체하며, 이는 기관 전용 현물 ETF에서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한 시점과 맞물려 실제 매도를 위한 자산 정리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아컴(Arkham)의 정보에 따르면, 블랙록은 단 하루 만에 2,854 BTC(약 4,367억 원)와 29,639 ETH(약 1,599억 원)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의 지갑으로 전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산은 블랙록의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트러스트와 아이셰어스 이더리움 트러스트와 직접 연결된 주소에서 확인되었다.
상황이 이렇듯, 최근 암호화폐 ETF 시장에서의 대규모 환매가 블랙록의 자산 이체 배경에 있다. 지난주 동안 비트코인 관련 ETF에서는 약 1조 7,100억 원이 유출되었으며, 특히 10월 16일에만 약 7,450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다음 날인 10월 17일에도 약 5,080억 원이 추가로 유출되어 현물 ETF 시장 전반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이러한 대규모 자금 이탈은 기관 투자자들이 시장에 대한 걱정을 나타내는 전조로 해석될 수 있다.
시장 반응 또한 민감하다. 비트코인은 최근 11만 달러 선을 앞두고 상승세가 주춤하며 10만 8,0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고, 이더리움 또한 심리적 저항선인 4,000달러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위축된 시장 흐름 속에서 ETF 환매에 따른 암호화폐 자산 이동이 매도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블랙록의 이체는 단순한 내부 자산 정리가 아니라 ETF 자금이 환매될 경우 투자자에게 현물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반환해야 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는 거래 및 결제를 담당하는 브로커인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코인이 이동하면서, 실제 매도 절차가 빈틈없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규모 자산 이체는 시장 조정 및 규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ETF 운용사의 실질적 대응으로 평가된다.
결국 블랙록의 이번 이체는 암호화폐 시장 흐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전망이다. ETF 환매와 대규모 코인 매도는 전체 시장 유동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자산 이동 여부에 따라서도 암호화폐 가격은 큰 변동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은 암호화폐 투자자와 이해 관계자들이 예의주시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