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XRP 현물 ETF 출시에서 소극적인 모습이 나타나며 시장에서 자칫 기회를 놓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캐너리 캐피털이 선제적으로 XRP ETF를 출시하면서, 블랙록은 시장의 흐름을 간과한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유튜버인 폴 배런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블랙록이 이번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고 강조하며, XRP ETF 시장의 주도권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캐너리 캐피털이 블랙록보다 먼저 미국 최초의 현물 XRP ETF인 ‘XRPC’를 상장한 사실을 언급하며, 블랙록이 XRP에 대한 수요를 과소평가한 결과라며 비판했다.
블랙록은 과거 2024년 1월에 미국 최초의 비트코인(BTC) 현물 ETF를 출시하며 10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유입시키며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권 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어서 이더리움(ETH) 등으로 그 영역을 확장했지만, XRP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캐너리 캐피털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 간의 소송이 2025년 8월에 합의로 마무리된 뒤, 즉시 11월 13일에 나스닥에 XRPC ETF를 성공적으로 상장시켰다. 거래 개시 30분 만에 2,500만 달러(약 337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하루 총 거래량은 5,800만 달러(약 782억 원)를 돌파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는 올해 ETF 중에서도 가장 높은 성과를 자랑한다.
블룸버그 ETF 분석가 에릭 발치우나스는 XRPC의 런칭을 올해 가장 성공적인 ETF로 평가하며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또한 암호화폐 시장 분석가 돔 콕은 XRP ETF가 폭발적인 수요를 입증했다고 주장하며, 블랙록이 조만간 XRP ETF를 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XRP 가격은 XRPC 출시 후 24시간 동안 약 3.6% 상승했으나, 이후 되돌림 조정으로 현재는 2.2달러(약 2,934원) 수준으로, 하루 기준 약 8.4% 하락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은 캐너리 캐피털의 ETF 런칭과 그 초기 성과가 기관투자자 사이에서 XRP에 대한 높은 관심과 투자 수요가 여전히 존재함을 나타낸다.
블랙록이 이제라도 XRP ETF를 출시할지는 불확실하지만, 초기 시장 주도권은 이미 라이벌인 캐너리 캐피털에게 넘어간 분위기이다. 주식 및 ETF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블랙록은 향후 결정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