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최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열린 TOKEN2049는 그 변화의 단면을 잘 보여주었다. 과거 2021년의 DeFi Summer와 NFT의 열기로 인해 느껴졌던 젊은 혼돈은 사라지고, 대신 안정된 정장 차림의 기업인들이 주도하는 질서와 규제가 강조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제 이 산업의 주축은 해커나 개발자가 아닌 기관과 자산 펀드매니저들로, 그들의 언어는 ‘혁신’이 아닌 ‘승인’과 ‘적합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블록체인 산업은 명확히 금융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ETF(상장지수펀드), RWA(실물자산 토큰화), DATs(디지털자산신탁)와 같은 용어들이 TOKEN2049에서 지배적인 키워드로 등장하며, 시장은 불확실성을 낮추고 규제 내에서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 속에서 느낌이 스며드는 기이한 공기는 과연 이 산업이 처음에 꿈꾸었던 미래가 어디로 간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남긴다.
TON이 텔레그램의 생태계를 활용해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목표로 한 반면, Ethena는 이자형 스테이블코인으로 ‘합법적인 수익’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각 프로젝트는 ‘제도권과 함께 가야 한다’는 공통된 메시지를 내세운다. 이는 산업의 성숙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지만, 동시에 상상력이 억압되고 있다는 신호일지도 모른다.
2021년, 우리는 탈중앙화된 금융을 구상하고 NFT로 예술의 민주화를 외쳤으며,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경제를 그려냈다. 그러한 시기에 있었던 ‘무모한 열정’은 많은 경우 실패로 이어졌지만, 그 조차도 혁신의 과정의 일환으로 여겨졌으나, 지금은 감독당국의 인준서류와 기관용 상품 설명서로 대체되면서 본래의 혁신의 무대는 사라지고 말았다.
이와 같은 변화의 이면에는 블록체인 산업의 피로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거품과 붕괴를 경험한 많은 이들은 “이제 안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 주장은 일견 타당해 보이지만, 안정은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안정은 일시적인 쉼표일 뿐이며, 이를 마침표로 오해할 경우 산업 전체가 정체될 위험에 처할 수 있다.
TOKEN2049 현장은 바로 그러한 정체의 경향을 드러냈다. 부스마다 AI, DePIN, SocialFi와 같은 개념이 등장했지만, 아무 곳에서도 새로운 서사를 찾기 어려웠다. “어디에 투자하면 안전한가”라는 질문이 모든 이의 공통된 물음이 되었다. NFT가 예술계에 혁신을 가져왔고 DeFi가 금융시장을 흔들었던 그 시절의 긴장은 이제 사라졌다. 산업은 여전히 활동하고 있지만, 흥미로운 이야기는 잃어버린 상태다.
현재 블록체인 산업이 마주하고 있는 핵심 문제는 가격이나 ETF 승인, 금리 인하, 새로운 L2 기술이 아니다. 우리가 잃은 것은 상상력이다. TOKEN2049가 유도한 가장 중요한 질문은 바로 “블록체인은 왜 존재해야 하는가”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한다면, 다음 사이클도 새로운 혁신의 시대가 아니라 단순히 금융의 파생상품으로 정리될 위험이 있다. 지금 이 산업에 필요한 것은 새로운 자본이 아닐지도 모른다. 다시 꿈꾸는 용기, 바로 그것이 상상력의 회복에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