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벡 라마스와미의 자산운용사 스트라이브, 세믈러 사이언티픽 인수로 비트코인 보유 기업 12위로 급부상

[email protected]



비벡 라마스와미가 이끄는 자산운용사 스트라이브(Strive Inc.)가 세믈러 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인수를 통해 비트코인(BTC) 보유량 기준 상장사 중 12위에 오르게 되었다. 이번 거래를 통해 스트라이브는 단번에 주요 비트코인 보유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양사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전량 주식 교환 방식의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세믈러의 주주들은 현금 대신 스트라이브 클래스A 보통주로 보상을 받게 되며, 세믈러의 주식 1주당 스트라이브 주식 21.05주로 교환되며, 이는 세믈러 거래 전날 종가 대비 약 210%의 프리미엄이 붙은 조건이다.

스트라이브는 이번 인수와 함께 비트코인 5,816개를 총 6억 7,500만 달러, 즉 약 9,383억 원에 매입했다고 밝히며, 기존 보유분인 70개를 포함하면 총 보유량은 5,886 BTC에 이르게 된다. 이는 스트라이브가 단순한 자산운용사에서 벗어나 비트코인을 중심 자산으로 두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세믈러 또한 자체적으로 5,0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합병으로 통합 기업은 총 10,9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된다. 이는 허트8 마이닝(Hut 8 Mining), 블록Inc.($SQ),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등을 초월하는 수치로, 현재 상장사 기준으로는 12번째로 많은 비트코인 보유량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스트라이브의 행보가 마이크로스트래지(MicroStrategy)의 비트코인 전략을 차용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스트라이브는 올해 초 자산 배분 전략을 전면 수정한 이후 비트코인을 주요 자산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번 합병은 단순한 M&A를 넘어 비트코인을 회계 중심으로 두는 전략적 변화로 평가되며, 비트코인 중심의 기업 모델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특히, 라마스와미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라는 점에서 그의 행보가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자산으로서 수용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스트라이브의 전략적 접근은 크립토 자산의 가치를 더욱 부각시키는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 인해 전 세계의 투자자와 기업들이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