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마인(BitMine)이 35일이라는 빠른 시간 안에 83만 개 이상의 이더리움(ETH)을 매입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판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번 매입의 총 가치는 약 29억 달러(한화 약 4조 3110억 원)로, 이를 통해 비트마인은 세계 기업 암호화폐 보유 순위에서 3위로 상승했다. 이러한 자산 축적 속도와 함께 주식 거래량의 급증은 월가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역동적인 시각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마인은 이더리움 보유량 기준에서 기존 1위 기업인 샤프링크(SharpLink)의 43만 8000 ETH를 한참 넘어서며 암호화폐 트레저리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비트코인(BTC)에 집중되어 있던 기업 보유 구조를 이더리움 중심으로 전환한 점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비트마인 이사회 의장이자 펀드스트랫(Fundstrat) 공동 창립자 톰 리(Thomas Lee)는 “이번에 확보한 83만 ETH는 회사의 암호화폐 순자산 가치를 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며, “급격한 자금 유입과 유동성 높은 주식 구조 덕분에 경쟁사와의 뚜렷한 차별화를 이루었다”고述했다.
비트마인의 이러한 성장세는 주식 시장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비트마인의 주식 티커인 BMNR은 최근 5거래일 동안 하루 평균 16억 달러(한화 약 2조 2240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미국 상장 주식 중 42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승차공유 기업인 우버($UBER) 바로 뒤에 해당한다. 비트마인의 주가는 이더리움 전략 발표 이후 300% 이상 상승했으며,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강한 매수세와 깊은 관련이 있다.
비트마인의 주요 투자자 중에는 아크 인베스트의 캐시 우드(Cathie Wood)와 밀러밸류파트너스의 고문 빌 밀러 3세(Bill Miller III)도 포함되어 있다. 밀러는 “지금이 가장 강력한 이더리움 기반 수익 모델이 등장할 시기”라며, “스테이킹이 시작되면 회사의 수익성이 본격화되며, 훌륭한 자본 배분 능력을 갖춘 경영진에 대한 믿음도 높아진다”고 평가했다.
비트마인의 이러한 행보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에서 사명 변경 후 스트래티지(Strategy)와 마라톤디지털홀딩스(MARA)가 주도하고 있는 현재 암호화폐 보유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더리움 중심의 전략은 비트코인 중심의 기존 보유 구조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향후 비트마인이 이더리움 스테이킹 전략을 본격화하면, 단순한 자산 보유를 넘어 유동성 창출과 수익 추구 모델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의 경쟁 관계에서 더욱 실용적인 투자 자산으로 자리잡을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