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이더리움(ETH) 보유 기업인 비트마인(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이 최근 이더리움 가격 하락 구간에서 추가적으로 대규모 매입을 결정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아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비트마인은 최근 14,665 ETH를 추가 매입했으며, 이번 거래는 약 6,470만 달러(약 899억 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비트마인은 이더리움이 주간 최저점인 4,300달러(약 597만 원) 아래로 하락한 시점을 이용하여 매수를 실시했다. 이후 이더리움은 시장에서 반등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비트마인은 보유량을 186만 6,974 ETH로 늘려 이더리움 전체 유통량의 1.54%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산 가치는 약 82억 달러(약 1조 1,398억 원)에 달한다고 전하였다.
비트마인의 이러한 공격적인 매수 전략은 최근 펀드스트랫(Fundstrat)의 이더리움 가격 전망과 일치하고 있다. 펀드스트랫은 2020년 저점 100달러(약 13만 9,000원)에서 2021년 고점 4,900달러(약 681만 원)로의 54배 상승 사례를 들어, 향후 이더리움이 비슷한 규모의 상승을 이룰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 계산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2025년까지 최대 7만 5,000달러(약 1억 417만 원)로 상승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전망도 제시되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디지털 자산 리서치 책임자인 제프 켄드릭은 이더리움의 올해 말 목표가를 기존 4,000달러(약 556만 원)에서 7,500달러(약 1,043만 원)로 상향 조정하였고, 2028년에는 2만 5,000달러(약 3,475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이더리움 기반의 인프라 기업 이서리얼라이즈(Etherealize)는 최근 약 4,000만 달러(약 556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완료하였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일렉트릭 캐피털과 패러다임이 주도하였으며, 이는 2024년 비탈릭 부테린과 이더리움 재단으로부터 받은 초기 자금 지원 이후 이어진 후속 투자로 해석된다. 이서리얼라이즈는 기존의 마케팅 및 비즈니스 개발 중심의 조직에서 벗어나 월스트리트와 이더리움 생태계를 연결하는 금융 인프라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반등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지난 8월 고점 대비 11% 하락해 박스권 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관과 대형 트레저리 기업의 지속적인 매입이 제한된 상승 모멘텀을 만들고 있으며, 이더리움의 중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