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서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VASP) 라이선스를 신청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마트(BitMart)가 최근 신청을 자진 철회했다. 이번 결정은 오케이엑스(OKX), 게이트(Gate), 바이비트(Bybit) 등의 주요 거래소들이 잇따라 같은 행보를 보이며, 홍콩의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있다.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에 따르면, 비트마트는 지난 6월 13일 해당 라이선스 신청을 공식적으로 철회했다. 이는 최근 홍콩 내 거래소들 사이에서 강화되는 규제 이탈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어서 업계의 고关注가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바이비트는 2023년 VASP 라이선스를 신청했지만, 2024년 5월 말에 이를 철회했고, 같은 시점에서 오케이엑스와 게이트HK도 신청을 취소하는 사례가 이어졌다. 이러한 잇따른 철수는 홍콩 정부의 암호화폐 허브 정책에 대한 이질감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홍콩은 2023년부터 정식 라이선스를 갖추지 않은 플랫폼의 영업을 전면 금지하고, 6월 1일부터는 규제에 미달하는 거래소에 대해 엄격한 제재를 실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청 중단이나 철회를 선택한 거래소들은 사실상 홍콩 시장에서 철수하는 단계로 접어들게 된다.
전문가들은 홍콩의 강도 높은 규제가 글로벌 가상자산 중심지로 자리 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시장 참여자들의 이탈을 초래하고 있다는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해외 플랫폼들은 내부 통제 요건과 사용자 보호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울 경우 라이선스 취득보다는 철회를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홍콩의 디지털 자산 생태계는 외국 기업의 시장 접근성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SFC는 현재까지 오지(OSL), 하시키(Keyrock), 하시 블록(HASH Blockchain) 등 몇몇 업체에만 라이선스를 발급한 상황이다. 이는 홍콩이 원칙에 기반한 규제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크립토 산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발언과 대조적으로, 홍콩과 미국 간 웹3 산업 규제 접근 방식의 차이는 향후 산업 내에서 큰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규제 환경 속에서 비트마트와 같은 주요 거래소들의 탈홍콩 현상은 정부의 정책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