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와이즈 CIO, 유니스왑 “현재 시가총액은 심각하게 저평가돼 있어” 주장

[email protected]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맷 후건(Matt Hougan)이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Uniswap)의 현재 시가총액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며 주목받고 있다. 후건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유니스왑의 시가총액이 60억 달러(약 8조 3,400억 원)라는 것은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유니스왑이 만약 전통 금융기업이었다면 세계에서 400번째로 큰 금융서비스 회사로 평가될 것이라는 점을 들어, 노르웨이의 금융기업 스토어브랜드(Storebrand)와 유사하다고 비교했다. 이는 탈중앙화 거래소로서 유니스왑의 기술적 성취와 시장 기여도가 지나치게 저평가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방증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건의 발언은 업계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특히 유니스왑의 수익성 및 거버넌스 토큰인 UNI의 가치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일부 업계 인사들은 UNI가 실질적인 투자 수익을 제공하지 않는다며 문제를 제기했고, 반면 다른 이들은 유니스왑의 가치가 수익을 반영할 경우 현재 수준의 시가총액이 정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유니스왑의 시가총액은 약 61억 5,000만 달러(약 8조 5,500억 원)로,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방식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 중에서 여전히 상위권에 속한다. 특히, 이달 들어 UNI 토큰은 가격이 30% 이상 상승했으며, 연초 대비로도 100% 넘는 변동성을 보였다. 최근 3개월간 유니스왑에서 발생한 누적 거래액은 2,800억 달러(약 389조 2,000억 원)에 달해, 여전히 탈중앙화 거래 시장에서 핵심 인프라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수치 뒤에도 유니스왑은 여러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지난해 12월 UNI 토큰은 19달러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급격한 가격 하락을 겪었고, 현재 10달러 근처에서 횡보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7월 한 달 간 저항선은 11달러, 지지선은 6~8달러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지난해 말 거래 업체 컴벌랜드(Cumberland)가 대량의 UNI 토큰을 이동시키면서 가격 급락을 유발한 사건이 있었다.

유니스왑의 거버넌스 구조 또한 우려할 만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최근 아카이브(arXiv)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초기 투자자와 유니스왑 재단의 소수 대형 UNI 보유자들이 대부분의 의결권을 독점하고 있으며, 일반 보유자의 투표 영향력은 사실상 미미하다. 이로 인해 주요 제안이 지연되거나 대형 보유자들의 이해관계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는 온체인 거버넌스를 벗어난 비공식적인 조율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론적으로 맷 후건의 주장은 유니스왑의 기술적 성취와 시장 기여도가 분명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도, 토큰 가치와 거버넌스의 투명성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미래에 시장이 어떤 측면을 더욱 높이 평가하느냐에 따라 유니스왑이 재조명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