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의 온체인 흐름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이 연방준비제도 잭슨홀 심포지엄을 앞두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에 비트코인이 급락한 반면, 이더리움은 안정적인 유출세를 지속하며 공급 압축 현상을 보이게 됐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자료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보유량은 최근 변동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약 253만 BTC로 큰 변화가 없다. 이는 판매 가능한 비트코인이 여전히 시장에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단기적으로 가격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최근 12만 3,000달러에서 11만 3,000달러(약 1억 7,067만 원)까지 하락한 바 있다.
반면, 이더리움은 7월 말과 8월 중순 사이에 30만 ETH 이상이 거래소에서 빠져나갔으며, 이는 단순히 개인 보관을 넘어 콜드 지갑으로의 전환, 스테이キング, 기관 수탁 자금의 이동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이더리움은 4,150~4,400달러(약 5,768만~6,116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상승 압력에 직면해 있다.
이와 함께 고래 투자자들의 활발한 움직임도 주목할 만하다. 7년간 비트코인을 보유했던 대형 투자자는 8월 20일 670 BTC를 7,600만 달러(약 1,056억 원)에 매도한 뒤, 이 자금을 네 개의 ETH 포지션으로 재배치했다. 이 투자자는 과거에 바이낸스와 HTX 플랫폼을 통해 1만 4,837 BTC를 축적했으며, 이는 약 16억 달러(약 2조 2,240억 원)에 달하는 규모이다.
고래 투자자는 대부분의 이더리움 포지션을 약 4,300달러(약 5,987만 원) 수준에서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해 진입했으며, 일부는 2,449 ETH에 대해 3배 레버리지를 활용했다. 그러나 거래 후 ETH 가격이 한때 4,080달러(약 5,671만 원)까지 하락하면서 이 세 건의 포지션은 손실 구간에 진입했고, 각각 3,699, 3,700, 3,732달러(약 5,139만~5,188만 원)에서 청산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이더리움의 저가 매수 신호가 강력하며, 고래들의 전략적인 자금 이동이 단기적인 상승세를 강화할 수 있다고 보이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은 유동량 유지를 통해 보수적 투자자들의 ‘현금화 대기’ 심리를 나타내며, 두 주요 암호화폐 간의 성과 차별화 가능성을 높인다고 평가된다.
결국, 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점은 이러한 흐름이 단기적인 트레이딩 전략과 자산 재배치 선택에 폭넓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조정 가능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이더리움의 공급 축소가 미래의 중기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