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중요한 변곡점인 옵션 만기일이 다시 찾아왔다. 오는 금요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옵션 계약이 만기되며, 그 총 명목 가치는 약 49억 달러(약 6조 8,110억 원)에 이른다. 전주(약 57억 달러)보다 만기 규모가 다소 줄어든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이 같은 규모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이다.
비트코인 옵션의 주요 지표를 살펴보면, 만기되는 계약 수는 3만 5,000건 이상이며, 명목 가치는 약 41억 달러(약 5조 7,000억 원)에 달한다. 흥미롭게도 푸트/콜 비율이 1.38로, 매도 중심의 포지션이 우세한 상황이다. 손실이 가장 큰 가격 구간을 나타내는 ‘맥스 페인 포인트’는 11만 5,000달러로, 현물 가격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 특히,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데리빗(Deribit)에서는 행사가 14만 달러에 해당하는 옵션 미결제약정이 약 30억 달러(약 4조 1,700억 원)에 누적된 것으로 관측됐다.
이더리움 옵션 또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인다. 총 22만 2,000건의 계약이 만기되고 명목 가치는 7억 9,200만 달러(약 1조 997억 원)로 집계되며, 맥스 페인 포인트는 3,600달러로 나타났다. 푸트/콜 비율은 1.06으로,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포지션을 형성하고 있다.
옵션 거래 플랫폼 그릭스라이브(Greeks Live)는 현재의 시장 심리를 ‘혼조 상태’로 평가하고 있다. 많은 트레이더들이 11만 2,000달러 가격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낮은 변동성 환경에 베팅하고 변동성 매도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세와 관련이 깊다.
이번 옵션 만기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축소된 규모에도 불구하고 최근 상승 반전 조짐을 보이던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퇴직연금 편입 대상에 포함시키는 행정명령을 서명한 이후, 시장이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금요일 새벽 아시아 시장에서 11만 7,500달러까지 상승하며, 이후 조정을 받아 11만 6,000달러 후반에서 거래되고 있다. 반면 이더리움은 강력한 랠리를 기록하며 3,900달러를 돌파, 심리적 저항선인 4,000달러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리플(XRP)의 경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5년간 이어진 소송에서 항소를 포기하면서 11% 상승하는 등 주요 알트코인들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번 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옵션 만기는 직접적인 가격 붕괴나 급격한 랠리보다는 시장에서 선호하는 흐름과 구조적 포지션 해소를 통해 점진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트레이더들에게 변동성을 활용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