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옵션 만기, 6,500억 원 규모의 파생상품 시장 긴장 고조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금 변동성의 중심에 서게 됐다. 금요일 오전 8시(UTC) 기준으로 약 6,533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옵션 계약이 만기를 맞이하며, 이는 시장에 significant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 옵션만 해도 약 4,559억 원(3.28억 달러) 규모에 달하며, 그 중 풋옵션 비중(Put/Call 비율)은 1.38로 집계되어 하락에 대한 베팅이 우세한 상황이다.

이번 옵션 만기 이벤트는 지난달 말의 대규모 청산에 비해 그 규모가 작지만, 현재 시장이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는 만큼 추가 하락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파생상품 분석업체 그릭스라이브(Greeks Live)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단기 암시적 변동성(IV)은 40%에 달하며, 이더리움의 경우 70%까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현재 시장 분위기는 ‘뚜렷한 하락 추세’로 정의됐다.

옵션 시장의 최대 손실 지점으로 여겨지는 ‘맥스 페인(Max Pain)’ 가격도 주목할 만하다. 비트코인의 맥스 페인 가격은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로, 현재 시세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파생상품 거래소 데리빗(Deribit)에서는 14만 달러(약 1억 9,460만 원) 행사가가 가장 많은 미결제 약정(Open Interest)을 기록하고 있어, 급등보다는 조정 흐름을 암시하고 있다. 반대로, 하락에 베팅한 투자자들이 집중한 9만 5,000달러(약 1억 3,210만 원) 구간에도 약 2,502억 원(1.8억 달러) 규모의 미결제 물량이 존재한다.

이더리움의 경우 약 1,765억 원(1.27억 달러) 규모의 옵션 계약이 입니다. 이더리움의 맥스 페인 포인트는 4,400달러(약 611만 원)로, 풋/콜 비율은 0.78로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상황이나, 시장은 여전히 박스권에 갇혀 있는 모습이다.

시장 전반의 분위기도 침체된 상태다. 이날 아시아 시장 초반 기준으로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 9,100억 달러(약 5,434조 원)로 전일 대비 소폭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강한 저항선인 11만 2,000달러를 넘지 못한 채 11만 1,300달러(약 1억 5,517만 원) 수준에서 횡보하고 있으며, 이더리움도 4,400달러 상단으로 돌파 후 4,330달러(약 601만 원)까지 하락하였다.

그릭스라이브는 이런 하락세의 주요 원인으로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의 주가 하락을 지적하며, 일반적으로 9월은 시장 유동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미국의 고용지표 악화로 인해 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매크로 경제 변수와 파생상품 만기 이벤트가 결합하여 시장에 예기치 못한 변동성을 띨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번 옵션 계약 만기일은 암호화폐 시장의 단기적인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핵심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큼으로, 투자자들은 이날의 흐름을 꼼꼼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